북한은 16일 한반도 평화를 일관되게 지지해왔다며 평화체제 건설 노력이 좌절된 것은 미국의 불성실한 태도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평화는 우리 공화국의 시종일관한 대외정책적 이념’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조선반도와 동북아시아의 평화, 나아가 세계의 평화와 안전을 도모하려는 것은 우리 공화국의 확고부동한 입장”이라고 밝혔다.
신문은 한반도에 전쟁을 막기 위한 구속력있는 체제와 협정이 존재하지 않으며 정전협정도 ‘이미 휴지장이나 다름없는 상태’인데도 전쟁이 벌어지지 않고 있는 것은 “우리 공화국이 시종일관 평화애호정책을 틀어쥐고 나갔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한반도 평화체제를 건설하기 위해 ‘공명정대한 제안’들을 내놓았지만 미국이 ‘불성실한 태도’로 모두 거부했다며 이는 ‘정전 상태를 공고한 평화로 전환시키려는 의지’가 결여됐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북한의 이같은 주장은 최근 남북한의 개성공단 정상화 합의로 남북관계가 개선되는 분위기 속에서 한반도 평화체제의 필요성을 다시 거론하며 이를 위한 미국의 태도 변화를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평화는 우리 공화국의 시종일관한 대외정책적 이념’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조선반도와 동북아시아의 평화, 나아가 세계의 평화와 안전을 도모하려는 것은 우리 공화국의 확고부동한 입장”이라고 밝혔다.
신문은 한반도에 전쟁을 막기 위한 구속력있는 체제와 협정이 존재하지 않으며 정전협정도 ‘이미 휴지장이나 다름없는 상태’인데도 전쟁이 벌어지지 않고 있는 것은 “우리 공화국이 시종일관 평화애호정책을 틀어쥐고 나갔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한반도 평화체제를 건설하기 위해 ‘공명정대한 제안’들을 내놓았지만 미국이 ‘불성실한 태도’로 모두 거부했다며 이는 ‘정전 상태를 공고한 평화로 전환시키려는 의지’가 결여됐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북한의 이같은 주장은 최근 남북한의 개성공단 정상화 합의로 남북관계가 개선되는 분위기 속에서 한반도 평화체제의 필요성을 다시 거론하며 이를 위한 미국의 태도 변화를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