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병식 방해” 中 비난에 평양 심기 불편… “의전 차원선 최룡해가 효과 커” 반론도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9월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항일·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70주년 기념 열병식에 최룡해 노동당 비서를 파견하는 것을 놓고 베이징 외교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김 제1위원장이 남북 고위급 접촉에는 ‘오른팔’인 황병서 북한군 총정치국장을 보내고 열병식에는 ‘왼팔’인 최 비서를 보내는 것에는 숨은 의도가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연합뉴스
최룡해 노동당 비서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 같은 해석에 대한 반론도 많다. 베이징의 한 북한 전문가는 “의전 차원에서는 김영남이 어울리겠지만 실질적인 효과는 대중국 외교를 사실상 전담하고 있는 최룡해 쪽이 훨씬 클 것”이라고 말했다. 최 비서는 김일성 주석과 중국에서 항일운동을 한 최현 전 인민무력부장의 아들이기 때문에 항일 승전 기념일과도 어울릴 수 있다.
관건은 ‘최룡해 카드’가 냉랭한 북·중 관계에 돌파구가 될 수 있느냐다. 진창룽 인민대 국제관계대학원 부원장은 “양국 관계 개선에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며 “시진핑 주석이 박근혜 대통령과는 따로 회담할 것이 확실하지만 최 비서를 만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베이징대 한반도 연구센터 김동길 교수도 “북한으로서는 김정은은 물론 명목상 국가수반인 김영남도 박 대통령과 주석단에 나란히 서기 힘들 것이고, 판문점에서 회담을 마친 황병서를 보내기도 어려워 무난한 최룡해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번 열병식이 북·중 관계의 변곡점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전승절 행사에서 박 대통령과 최 비서가 만날지도 관심을 끈다. 중국이 가장 신경 쓰는 만큼 박 대통령 자리는 행사장 중앙에 배치될 것으로 보여 최 비서와는 멀리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정부 관계자는 “최 비서가 직접 박 대통령을 찾아오거나 파격적인 의전이 이뤄지지 않는 이상 만남은 불가능하다”고 전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서울 이제훈 기자 parti98@seoul.co.kr
2015-08-27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