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봉 5000만원 진실 류충렬은 이제 밝혀라 그리고 짐을 내려놓아라”

“관봉 5000만원 진실 류충렬은 이제 밝혀라 그리고 짐을 내려놓아라”

입력 2012-06-08 00:00
수정 2012-06-08 00: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민간사찰 ‘최초 폭로’ 장진수 前주무관… “진경락 입막음 대가로 靑에 공천 요구”

“류충렬(56) 전 국무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은 ‘관봉 5000만원’의 진실을 얘기하고 자신을 짓누르고 있을 무거운 짐을 내려놓아야 합니다. 혼자 짊어지고 가려는 그릇된 선택을 한다면 저처럼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내게 될 것입니다.”

이미지 확대
장진수 前주무관
장진수 前주무관
●“첫 수사때 진실 은폐… 암흑”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이하 지원관실)의 민간인 불법사찰 및 증거인멸에 청와대가 개입됐다고 최초 폭로, 검찰의 재수사를 이끌어 낸 장진수(39)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은 수사가 마무리되기 전에 류 전 관리관이 진실을 말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장 전 주무관은 7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류 전 관리관과 장석명(48) 청와대 민정수석실 공직기강비서관이 거짓말로 일관하고 있다.”며 “그들이 입을 맞춘 듯 일관된 진술을 한다고 해서 다 진실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그는 “2010년 수사 때 진실을 은폐한 뒤 줄곧 암흑 속에서 지냈다.”면서 “진실을 말한 이후에야 어깨의 짐을 내려놓고 편안해졌다.”고 회고했다.

장 전 주무관은 장 비서관의 ‘거짓말’과 관련해선 “본인이 연루돼 있어 진실을 감추려 하는 것일 수도 있고, 다른 누군가를 보호하기 위해 그럴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5000만원과 관련해 류 전 관리관의 말 바꾸기(총리실 직원들이 십시일반으로 모은 돈→장인 돈) 등에 대해서는 “장 비서관이나 청와대 안팎의 ‘윗선’, ‘배후’를 보호하는 게 자신에게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 같다.”면서 “단순 전달자에 불과하면 크게 책임지지 않을 텐데도 여러 가지 이유로 진실을 호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 전 주무관은 “류 전 관리관이 지난해 4월 ‘장 비서관이 마련한 것’이라며 관봉 형식의 뭉칫돈 5000만원을 건넸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내가 지금까지 한 말은 모두 사실”이라며 “검찰이 제대로 입증하지 못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한숨지었다.

●“입막음 돈·윗선 규명수사 아쉬워”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에 한 가닥 기대를 하고 있는 듯 검찰 수사와 관련해서는 말을 아꼈다. 장 전 주무관은 “처음 문제 제기를 했던 증거인멸과 관련해서는 어느 정도 소명된 것 같은데, 입막음조로 제공된 돈의 출처나 ‘윗선’은 제대로 규명되지 못하는 것 같아 아쉽다.”고 지적했다.

장 전 주무관은 향후 특검이 도입된다면 또 출석해 성실히 조사받겠다고도 했다. 그는 “2010년 수사 때 사실대로 얘기하지 못한 게 내내 후회됐다.”면서 “진실을 밝히려는 내 의도가 ‘기획폭로’로 왜곡됐을 때 마음이 아팠다.”며 애석해했다.

한편 검찰은 진경락(45·구속 기소) 전 지원관실 기획총괄과장이 지난해 4월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로 풀려난 후 청와대 측에 입막음 대가로 19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비례대표 자리를 요구하는 내용을 담은 녹취록을 확보했다. 검찰은 녹취록에 등장하는 이영호(49·구속 기소)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의 변호인 박모 변호사를 지난 2일 소환해 진 전 과장의 요구를 실제로 청와대에 전달했는지 등을 조사했다.

홍인기기자 ikik@seoul.co.kr

2012-06-08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