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생 평화 연구 모임 ‘평화이음이’
“남과 북이 전쟁하고 휴전선을 그은 순간부터 둘을 연결하던 실은 조금씩 꼬이기 시작했어요. 이제는 아주 얽히고설켜 버렸고, 몇몇 군데에서는 매듭을 풀 수 없을 정도가 됐습니다.”
어린이어깨동무 제공
청소년의 모임인 ‘평화이음이’ 학생들이 지난해 서울 마포구 성산동 시민단체 민중의집 사무실에서 오리엔테이션 준비를 마친 뒤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어린이어깨동무 제공
어린이어깨동무 제공
24일 경기 의왕의 대안학교에 다니는 김도혜(15)양은 분단 현실을 ‘실’에 비유했다. 누군가는 남북을 잇는 실을 끊자고 말하고, 또 누군가는 시간이 걸려도 복잡하게 얽힌 매듭을 풀자고 외치고 있다고 했다.
김양은 “실이 예전처럼 깨끗하게 펴지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저 실타래에 엮인 사람들이 덜 상처받고, 상처를 조금이나마 치유해 줄 수 있다면 그것으로 족하다”고 말했다.
사단법인 어린이어깨동무가 운영하는 ‘평화이음이’는 김양처럼 분단 현실과 통일, 평화에 관심 있는 청소년들이 한자리에 모여 이야기를 나누는 모임이다. 학생들은 ‘북녘’에 대한 또래의 이해를 돕고, 남북 공존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책자 등을 만들었다. ‘빨갱이’라는 말이 발단이 됐다. 이은서(16)양은 “할아버지를 비롯해 6·25전쟁을 겪으신 많은 어르신이, ‘누구누구는 빨갱이’라며 북녘을 부정적으로 표현하고 ‘통일은 절대 안 된다’고 말씀하셨다”며 “심지어 또래 친구들도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친구들’을 나쁘게 말할 때 ‘빨갱이’란 말을 분별없이 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학생들은 북한을 싫어하고 통일에 부정적인 친구들을 보며 또래들이 가진 북한과 통일에 대한 이미지를 설문조사로 알아봤다. 2013년 11~12월에 서울·경기·충청 중·고교생 303명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를 한 결과 과반수(69.3%)가 북한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북한 사람들의 생활을 묻는 질문에는 절반 이상(55.2%)이 ‘모른다’고 답했다.
작은 희망도 볼 수 있었다. 북한을 나쁘게 인식하면서도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학생(77.6%)이 다수였다. 학생들의 75.7%는 북한을 ‘협력하거나 도와야 하는 대상’이라고 답했다. “좀 놀랐어요. 북한을 안 좋게 보는 시선이 퍼져 있지만 마음 한구석에는 평화를 꿈꾸고 있다는 사실에 감동을 받기도 했어요.” 설문조사를 했던 류호철(16)군은 떨리는 목소리로 설명했다.
‘평화이음이’의 활동에 대해 일부 어른은 ‘너희는 몰라’라는 식으로 불편해한다고 했다. 하지만 김세연(16)양의 생각은 달랐다. “여러 가지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타협하는 것이 정치라고 한다면, 그 안에는 어른 의견만이 아니라 청소년 의견도 있어야 해요. 어른들이 항상 ‘청소년이 미래의 희망’이라고 말하잖아요. 희망을 이어가기 위해서라도 남과 북이 대립하지 않고 평화롭게 살았으면 좋겠어요. DMZ(비무장지대)로 갈려 있어도 우리의 DNA는 같으니까요.”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5-03-25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