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개인정보를 사적으로 조회하거나 유출해 징계를 받은 경찰관이 300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박남춘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개인정보를 사적으로 조회하거나 유출해 적발된 경찰이 2012∼2014년에 모두 289명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보면 2012년 165명, 2013년 54명, 지난해 70명이었다.
지난해 충북 청주경찰서의 한 경찰관은 청첩장을 발송하기 위해 퇴직한 직원 50명을 조회하다 적발됐으며, 부산의 한 경찰관은 호기심에 연예인의 주소를 조회하기도 했다.
개인정보 침해로 적발된 경찰관 중 정직 이상의 중징계를 받은 이는 전체의 12%인 37명에 불과했다. 나머지 252명은 감봉 또는 견책을 받았다.
박남춘 의원은 “국민의 민감한 개인정보를 방대하게 보유한 경찰이 개인정보를 보호하지 않는다면 국민이 경찰을 결코 신뢰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21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박남춘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개인정보를 사적으로 조회하거나 유출해 적발된 경찰이 2012∼2014년에 모두 289명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보면 2012년 165명, 2013년 54명, 지난해 70명이었다.
지난해 충북 청주경찰서의 한 경찰관은 청첩장을 발송하기 위해 퇴직한 직원 50명을 조회하다 적발됐으며, 부산의 한 경찰관은 호기심에 연예인의 주소를 조회하기도 했다.
개인정보 침해로 적발된 경찰관 중 정직 이상의 중징계를 받은 이는 전체의 12%인 37명에 불과했다. 나머지 252명은 감봉 또는 견책을 받았다.
박남춘 의원은 “국민의 민감한 개인정보를 방대하게 보유한 경찰이 개인정보를 보호하지 않는다면 국민이 경찰을 결코 신뢰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