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한국인 시간 사용 분석
한국인들이 은퇴 후 잠자는 것 다음으로 많이 하는 일은 무엇일까. 바로 TV 보기이다. 하루 평균 3시간 30분, 60세에 은퇴해 85세까지 산다고 가정할 경우 25년 중 3년 9개월에 해당하는 3만 3000시간을 TV 앞에서 보낸다. 특히 은퇴한 남성은 75세 전후로 일하는 시간이 확 줄어드는 ‘시간절벽’에 직면한다. 경제활동은 줄어드는데 가사노동은 ‘아내 몫’이기 때문이다.
가용시간을 일과 여가에 쓰는 비중을 보면 남성은 은퇴 전반기(60~75세)에는 일에 38%, 여가에 62%를 쓰다가 은퇴 후반기(75세 이후)에는 일에 23%, 여가에 78%를 쓴다. 반면 여성은 은퇴 전·후반기에 일(46%→32%)과 여가(54%→68%)에 쓰는 비중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았다.
나이가 들면서 늘어난 여가시간은 TV를 보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고 쉬는 등 소극적 여가 시간으로 바뀌었다. 특히 남성이 심했다. 은퇴 전반기 32%였던 소극적 여가 비중이 후반기에 46%로 뛰었다. 은퇴 후반기에 들어가면 가용시간의 절반을 TV만 보거나 멍하니 있는 것으로 때운다는 의미이다. 김경록 미래에셋은퇴연구소장은 “여가 시간에도 봉사활동 등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가사노동을 성 역할에 기댄 분업의 관점이 아니라 남녀 간 협업의 관점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5-10-30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