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까지 모든 역사로 확대
2020년까지 모든 철도역사 승강장에 안전문(스크린도어)이 닫히지 않으면 열차 출발이 차단되는 자동제어 시스템이 설치된다. 국토교통부는 스크린도어 안전종합대책을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스크린도어 자동 제어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역사는 서울시가 운영하는 서울지하철 1~4호선과 수도권광역철도 역사 121곳이다.
열차와 스크린도어 사이가 넓은 역사에는 기관사가 운전실에서 승객의 끼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폐쇄회로(CC)TV를 설치하고, 스크린도어가 고장 나면 관제사가 열차의 진출입을 직접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연내에 구축된다. 역무원을 스크린도어 안전 관리자로 선임하도록 철도시설의 기술 기준을 연내에 개정해 관제사와 역무원의 2중 감시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또 위아래로 문이 열리는 상하 개폐 방식의 스크린도어(한국교통연구원 개발)가 논산역에 시범 도입된다.
기존의 좌우 개폐식 스크린도어는 출입문의 위치나 크기가 서로 다른 열차가 함께 다니는 일반철도 역사에는 설치할 수 없지만, 상하 개폐식은 열차의 종류와 관계없이 작동이 가능하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7-02-08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