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청와대 문건’에 서울시 공식비판…“청년들에 사과하라”

‘박근혜 청와대 문건’에 서울시 공식비판…“청년들에 사과하라”

입력 2017-07-21 10:57
수정 2017-07-21 10: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청년수당 파행, 청와대의 정치적 개입·탄압 때문”

서울시는 21일 박근혜 정부가 만든 ‘서울시 견제 문건’에 대해 “청년수당 도입 당시 있었던 파행과 중앙정부의 비정상적 결정 과정이 청와대의 의도적이고 정치적인 개입과 지시, 탄압에 의한 것이었음을 뒷받침하는 근거”라며 책임 있는 관계자의 사과와 후속 조치를 요구했다.

서울시는 이날 강태웅 대변인 명의로 낸 입장문에서 “청와대가 발표한 문건의 내용이 사실이라면, 전(前) 정부는 벼랑 끝에 놓인 우리 청년들의 현실을 외면한 채 정치적 이해관계로 청년수당 정책을 판단하고 부적절하게 개입한 것”이라고 밝혔다.

전날 청와대는 국정상황실 캐비닛에서 발견한 이전 정부 문건 504건의 주요 내용을 추가로 공개했다. 여기엔 박원순 시장이 이끄는 서울시를 견제하는 방안에 대한 문건도 있었다.

문건에는 “서울시 정책을 정부가 무조건 반대한다는 프레임이 작동하지 않도록 하면서 서울시 계획의 부당성을 알려 나가야 한다”거나, “서울시가 청년수당 지급을 강행하면 지방교부세 감액 등 불이익 조치를 해라”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전 정부 책임 있는 관계자의 명확한 사과와 함께 관련 문건의 위법소지와 부당한 지시에 대한 조사 및 후속 조치가 시급히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청년수당을 1회 지원받고 (보건복지부의) 직권취소 때문에 계획했던 본인 진로를 수정해야 했던 청년들, 청년수당 50만원을 써도 되는지 불안해했던 청년들, 열심히 살고자 했으나 ‘아편’, ‘백수에게 돈 준다’고 하는 일부의 날 선 비판을 맞으며 자괴감에 시달려야 했을 청년들에게 진심 어린 사과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6월 청년수당 시범사업 대상자 3천명을 선정하고, 이 가운데 2천831명에게 첫 달치 50만원을 지급했다. 그러나 사업 시행을 두고 갈등을 빚던 보건복지부가 직권취소를 내리면서 그 이후로는 수당을 줄 수 없었다.

서울시는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정상화되고 전국화된 청년수당 사업이 청년들의 어려운 삶에 실제 도움이 되는 정책으로 안착하도록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청와대의 공개로 전 정부가 서울시 정책이라면 의도적으로 반대해온 정황도 드러났다”며 “이는 시민 삶을 위한 정책을 발목 잡은 것으로, 실제 시민 피해로 이어진 사례가 없는지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환경·디지털·안전 담아 새단장한 청량중학교 방문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은 지난 21일 환경·디지털·안전 등을 고려해 그린스마트 미래학교로 새단장한 청량중학교(동대문구 왕산로 301)를 방문했다. 그린스마트 미래학교는 40년 이상 경과한 학교 건물을 개축 또는 리모델링하는 노후학교시설 개선사업이다. 단순히 노후건물을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환경을 생각하고 ▲교육의 디지털 전환과 교실혁명이 가능한 스마트함을 담고 ▲미래학교 교육과정 실현과 교육공동체의 요구를 담은 공간개선 ▲마을과 더불어 사는 삶을 실천하는 학습생태계를 지향하는 복합화 ▲유해환경으로부터 학생을 보호하고 학부모가 안심할 수 있는 안전까지 고려해 개선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청량중학교는 민간투자사업(BTL)으로 첫 완공했다. 이날 최 의장은 준공식에 참석하고 학교시설을 탐방했다. 준공식에는 정근식 교육감, 이필형 동대문구청장, 이병윤 서울시의회 교통위원장(동대문구 제1선거구), 이태인 동대문구의장 등이 참석했다. 최 의장은 “단순히 노후 건물을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과 디지털, 마을공동체에 열린 공간, 안전 등의 철학이 담긴 서울의 미래 교육의 장을 볼 수 있어서 반갑고 뿌듯하다”라며 “공간이 생각을 지배한다는 말이 있
thumbnail -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환경·디지털·안전 담아 새단장한 청량중학교 방문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