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방에 도깨비불… 그 뒤엔 불길 휘몰아쳐”

“사방에 도깨비불… 그 뒤엔 불길 휘몰아쳐”

이창언 기자
이창언 기자
입력 2025-03-24 00:27
수정 2025-03-24 05: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비규환 된 산청 산불 현장

이미지 확대
‘의성 산불’ 야간에도 확산
‘의성 산불’ 야간에도 확산 경북 의성군 대형 산불 발생 이틀째인 23일 의성군 산불 현장에서 산불이 확산하고 있다. 2025.3.23 연합뉴스


“불이 마을 앞뒤로 들이닥치는데 아비규환이었지. 들이며 산이며 곳곳에서 동시에 올라오니까. 어릴 적 산불을 많이 봤었지만 이런 불은 처음이야. 도깨비불이야 진짜.”

경남 산청군에서 난 대형 산불이 사흘째를 맞은 23일 오전 중태마을 손경모(68) 이장은 당시 상황을 회상하며 이같이 말했다. 전날 오후 3시쯤 마을 쪽으로 불길이 번지자 군청·면사무소 직원과 손 이장은 집 안에 있을 어르신들을 대피시키고자 소리치고 뛰면서 문을 두들기기 바빴다. 고령자가 많아 지체했다가는 많은 사상자가 날 상황이었다. 손 이장은 “산 능선을 따라 불이 오는 게 아니라 바람 탄 불똥이 온 사방에 떨어졌다”며 “냇가에 있는 마른 갈대와 산에 쌓인 낙엽은 불쏘시개가 됐고 날씨가 가물어서인지 삽시간에 번졌다”고 말했다.

어떤 불길은 뒷산 소나무 사이사이에서 마치 선을 연결한 듯 아래로만 번졌다. 논 한가운데 다 베지 못한 잡초도 불똥이 튀자 속절없이 타올랐다.

이번 산불로 중태마을에서만 10여채가 불에 탔다. 마을 뒷산과 앞산, 들에서 동시에 불이 보인 지 약 1시간 30분 만이다. 주민들은 “도깨비불처럼 불이 휙휙 날아다녔다”고 말했다.

단성초교 임시대피소에서 만난 정종대(82)씨는 뜬눈으로 밤을 지새웠다며 허탈한 표정을 지었다. 전날 오후 내려진 긴급 대피 명령에 살기 위해 모든 것을 버리고 나온 것이 아쉬웠다가도 고약한 화마에 섬뜩함을 느꼈다.

집을 지키려 나름 버텨 봤지만 역부족이었다. 마치 누군가 여기저기 화염방사기를 쏘아대는 듯 휘몰아친 불길은 평생을 산 집마저 삼켰다. 정씨는 “평소 집 주변 나무를 베며 나름 관리도 했는데 소용없더라고. 집에 남아 물이라도 뿌렸어야 했나 싶다가도 있었다면 꼼짝없이 죽고 말았을 것”이라고 울분을 토했다.

지난 21일 오후 3시 26분쯤 산청군 시천면 한 야산에서 시작된 산불로 이날 오전까지 254가구 344명이 동의보감휴양림·단성초 등 9곳으로 대피했다. 대부분 주민은 매일 먹어야 하는 약 정도만 챙겨 집을 빠져나왔다. 대피 인원이 가장 많은 단성중 체육관에서 만난 외공마을 김수야(89)씨는 “아들과 둘이 살던 70년 가까이 된 집이 다 탔다”며 “확 몰아치는 바람과 솟아오르는 시뻘건 불길에 온몸이 굳었다”고 말했다.

조용했던 농촌 마을은 아비규환이 됐다. 강풍에 불똥이 멀게는 1㎞까지 날아가면서 시천면 내 어느 마을 하나 안심할 수 없었다. 온 동네가 전쟁터같이 변했다는 소식에 주민들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막막함을 토로한다. 대피소 밖 운동장에서 만난 주민들은 검게 타 버린 산 쪽을 멍하니 지켜봤다.
2025-03-24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