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 동물생명과학대학 건물에서 발생한 원인 불명의 폐렴 환자 50명이 6일 퇴원했다. 퇴원 환자를 비롯한 입원 환자 55명 전원은 이날 격리 해제됐다. 아직 질환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는데도 보건 당국이 격리 해제와 퇴원 결정을 내린 것은 사람 간 전파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판단해서다. 동물생명과학대학 실험실 근무자 147명 중 55명(37.4%)이 폐렴 증상을 보일 정도로 발병률이 높은데도 현재까지 의심 환자와 밀접 접촉한 동거인과 의료인 301명 가운데 감염된 사례는 없다.
질병관리본부는 전날 민간 전문가들이 자문회의를 열어 사람 간 전파 가능성은 없거나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며, 의심 환자들의 증상이 소실돼 전파 가능성이 더욱 희박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새로운 의심 환자가 발생하더라도 격리 조치 없이 담당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통상적 수준의 치료를 하기로 했다. 다만 동물생명과학대학 건물은 당분간 폐쇄하고 질환의 원인을 찾기 위한 심층 역학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의심 환자의 혈액이나 객담, 환경검체에 대한 세균·바이러스·진균(곰팡이) 등 병원체 검사를 계속하고 있다. 양병국 질병관리본부장은 “이달 말이면 현재 검사 중인 검체에 대한 모든 조사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질병관리본부는 전날 민간 전문가들이 자문회의를 열어 사람 간 전파 가능성은 없거나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며, 의심 환자들의 증상이 소실돼 전파 가능성이 더욱 희박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새로운 의심 환자가 발생하더라도 격리 조치 없이 담당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통상적 수준의 치료를 하기로 했다. 다만 동물생명과학대학 건물은 당분간 폐쇄하고 질환의 원인을 찾기 위한 심층 역학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의심 환자의 혈액이나 객담, 환경검체에 대한 세균·바이러스·진균(곰팡이) 등 병원체 검사를 계속하고 있다. 양병국 질병관리본부장은 “이달 말이면 현재 검사 중인 검체에 대한 모든 조사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11-07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