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만 마셔도 살찐다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아무리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는다는 사람이 있다. 똑같이 살집이 있다해도 어떤 이는 건강하게 생활하는데, 고혈압에 고지혈증 같은 각종 성인병에 시달리는 이들도 있다. 이런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뭘까. 답은 ‘유전자’다.
비만인 사람 중에 건강을 유지하는 사람과 각종 성인질환에 시달리는 사람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유전자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에서 발행하는 기초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 최신호에 실렸다. 연구는 덴마크 코펜하겐대 의대, 네덜란드 그로닝겐대 의대, 애트리엄 의료센터 외과, 마스트리흐트대 의대 공동연구진이 진행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 앞서 덴마크에 거주하는 성인 10만명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BMI)와 수명, 건강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BMI가 과체중인 사람이 정상, 저체중, 비만인보다 더 오래산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 과체중이나 비만한 사람들 중에서도 별 다른 질환없이 건강하게 생활하는 사람들도 상당수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연구팀은 비만임에도 건강을 유지하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에 돌입했다.
연구팀은 BMI상 비만인 60명을 대상으로 간, 근육, 피하지방, 내장지방 4개 부분에서 유전자를 분석했다. 60명 중 28명은 건강을 유지하고 있는 이들이었고, 32명은 고혈압이나 고지혈증 같은 대사질환에 시달리는 사람이었다. 그 결과 세포내 지방의 운반과 저장,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 3개에서 차이를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비만인데도 건강한 사람은 세포내 지방저장률이 높아 다른 조직으로 지방산이 흘러들어가지 않아 신진대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하야 케더미디인 코펜하겐대 의대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가 균형잡힌 식사나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없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비만인 사람 중에 건강을 유지하는 사람과 각종 성인질환에 시달리는 사람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유전자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에서 발행하는 기초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 최신호에 실렸다. 연구는 덴마크 코펜하겐대 의대, 네덜란드 그로닝겐대 의대, 애트리엄 의료센터 외과, 마스트리흐트대 의대 공동연구진이 진행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 앞서 덴마크에 거주하는 성인 10만명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BMI)와 수명, 건강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BMI가 과체중인 사람이 정상, 저체중, 비만인보다 더 오래산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 과체중이나 비만한 사람들 중에서도 별 다른 질환없이 건강하게 생활하는 사람들도 상당수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연구팀은 비만임에도 건강을 유지하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에 돌입했다.
연구팀은 BMI상 비만인 60명을 대상으로 간, 근육, 피하지방, 내장지방 4개 부분에서 유전자를 분석했다. 60명 중 28명은 건강을 유지하고 있는 이들이었고, 32명은 고혈압이나 고지혈증 같은 대사질환에 시달리는 사람이었다. 그 결과 세포내 지방의 운반과 저장,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 3개에서 차이를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비만인데도 건강한 사람은 세포내 지방저장률이 높아 다른 조직으로 지방산이 흘러들어가지 않아 신진대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하야 케더미디인 코펜하겐대 의대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가 균형잡힌 식사나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없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