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호성, 꿈을 향한 마지막 페달 밟는다

조호성, 꿈을 향한 마지막 페달 밟는다

입력 2012-08-03 00:00
수정 2012-08-03 09: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 사이클의 간판스타이자 믿음직한 맏형 조호성(38·서울시청)이 2012 런던올림픽에서 오랫동안 품어 온 ‘메달’의 꿈을 향해 마지막 페달을 밟는다.

조호성은 ‘불모지’인 한국 사이클에서 가장 메달에 근접했던 선수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 40㎞ 포인트레이스에서 20번째 바퀴까지 공동 선두를 달리다가 막판 스퍼트에 실패해 4위로 아쉽게 메달을 놓쳤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도 7위에 오르는 등 한국 사이클의 ‘대들보’로 맹활약했다.

조호성은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2관왕을 끝으로 2004년 경륜으로 전향했다.

경륜 선수로도 최고의 실력을 뽐냈다. 2005년부터 4년 연속 상금 랭킹 1위를 차지했고 47연승의 대기록도 세웠다.

그러나 2008년 돌연 은퇴를 선언하고 다시 아마추어로 돌아왔다.

수억 원에 달하는 연봉을 마다하고 척박한 아마추어 레이스로 돌아온 이유는 시드니에서 아쉽게 실패한 메달의 꿈이었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 4㎞ 단체추발 금메달을 목에 걸며 건재를 과시한 조호성은 드디어 12년 만에 다시 올림픽 벨로드롬에 서게 됐다.

어느새 불혹을 바라보는 나이. 이번이야말로 마지막 올림픽이라는 각오로 페달을 밟는다.

이번에 조호성이 메달을 노리는 종목은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옴니엄이다.

이틀 동안 치른 6개 세부종목 순위를 점수화한 총점으로 승자를 가리는 옴니엄은 세계 수준과의 격차가 큰 단일 종목에 비해 한국 선수의 메달 가능성이 큰 종목이다.

대한사이클연맹이 2009년 중흥을 선언하면서 전략 종목으로 꼽기도 했다.

특히 프로와 아마추어를 오가며 풍부한 경험을 쌓은 조호성에게는 해 볼만한 도전이다.

물론 쉽지 않은 도전이다. 각 종목에 특화된 기술을 가진 정상급 선수가 여럿 출전해 메달에 도전하기 때문이다.

글렌 오셰아(호주)와 후안 에스테반 아랑고(콜롬비아) 등 만만치 않은 경쟁자들이 즐비하다.

그러나 조호성 역시 이번만큼은 아쉬움을 남기지 않겠다는 각오가 단단하다.

올림픽에 대비해 호주와 프랑스, 스위스 세계사이클센터(WCC) 등에서 전지훈련을 치르며 페달에 힘을 주고 있다.

체력과 근지구력을 길러 무게감 있는 주행으로 한국 사이클에 사상 첫 메달을 안기고 자신의 오랜 꿈까지 이루겠다고 벼르고 있다.

지난달 29일 런던에 들어와 적응 훈련에 한창인 조호성은 한국 시간으로 4일 저녁 6시30분 첫 레이스에 나선다.

연합뉴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