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3일 2009~10 유로파리그 결승전이 열린 독일 함부르크 노드뱅크 아레나 경기장. 이곳에서는 ‘LG전자와 기아자동차의 대결’이 펼쳐졌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결승에 오른 스페인 프리메라리가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영국 프리미어리그의 풀럼이 각각 기아차와 LG전자가 후원하고 있는 프로축구 구단이기 때문이었다. 경기장과 TV를 통해 경기를 관람한 수억 명의 세계 축구팬들의 뇌리에는 선수들의 유니폼에 선명하게 새겨진 기아차와 LG전자 로고가 깊이 남아 있을 것이다.
세계 3대 리그(프리미어리그, 프리메라리가, 이탈리아 세리에A) 중 ▲삼성전자-첼시 ▲LG전자-풀럼 ▲기아차-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등이 인연을 맺었다.
특히 축구 마케팅에 가장 열을 올리는 기업은 삼성전자다. 삼성전자는 2005년 전 세계에 9000만명의 팬을 거느린 첼시와 후원 계약을 했다. 2013년까지 첼시 선수단의 유니폼과 경기장 등에 삼성 광고를 넣을 수 있다. 첼시는 올해 프리미어리그 최종전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꺾고 정상을 차지해 광고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최소한 1억달러 이상의 광고 효과를 올린 것으로 추산했다.
삼성전자의 유럽 매출 역시 후원 전인 2004년 17조 8371억원에서 지난해 36조 1830억원으로 두 배 이상 성장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미하엘 발라크와 디디에 드로그바 등 첼시의 유명 선수들을 유럽과 아프리카에서 삼성 휴대전화 광고 모델 등으로 기용하고, 루마니아와 오스트리아에서는 첼시 선수들과 함께하는 어린이 축구교실도 열었다.”고 설명했다.
현대기아차 역시 축구 마케팅에서 둘째 가라면 서러운 기업이다. 기아차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를 비롯해 프랑스 1부리그(르 샹피오나) 지롱댕 보르도,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등을 후원하고 있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올해 유로파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면서 ‘대박’을 쳤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0-06-12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