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력한 박주영·윤석영 중용 알제리전 전술변화 없어 완패
예고된 참사였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축구대표팀이 23일 포르투알레그리의 베이라히우 주경기장에서 열린 알제리와의 브라질월드컵 조별리그 H조 2차전에서 무려 네 골을 내주고 두 골을 쫓아갔지만 2-4로 완패했다. 앞서 벨기에는 러시아를 1-0으로 따돌리고 2연승(승점 6), H조에서 가장 먼저 16강에 올랐다.
포르투알레그리 연합뉴스
희망 드리겠다 했지만…
홍명보 한국 축구대표팀 감독이 23일 포르투알레그리의 베이라하우 주경기장에서 열린 알제리와의 브라질월드컵 조별리그 H조 2차전 전반 26분 이슬람 슬리마니에게 첫 골을 내주자 이마를 만지며 허탈해하고 있다.
포르투알레그리 연합뉴스
포르투알레그리 연합뉴스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 미세하게 들여다보면 여러 가지를 짚을 수 있다. 알제리가 공격적으로 나서겠다고 공언했는데도 러시아전에서 재미를 봤던 ‘선수비 후역습’을 그대로 되풀이했다. 또 두 차례 평가전과 러시아전에서 이렇다 할 활약을 보여 주지 못한 박주영과 윤석영을 계속 중용한 점, 중앙수비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도 교체 카드 등을 활용해 대응하지 못한 점 등이 패착이었다.
시야를 좀 더 넓게 벌리면 대한축구협회의 문제가 더 근본적으로 깔려 있다. 대입 수능처럼 오랜 시간 계획을 세워 조금씩 단계적으로 준비해 나가야 했는데, 우리는 본선을 1년도 채 남기지 않은 시점에 사령탑을 교체한 뒤 ‘믿고 맡겼다’. ‘올림픽 4강’에 취한 탓이었다. 선수 선발 권한을 홍명보 감독에게 일임하고 협회와 기술위원회가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은 것도 간접적인 패인이 됐다. ‘엔트으리’ 등 숱한 논란으로 ‘중심’을 흐트러뜨린 것도 협회와 홍 감독이었다.
포르투알레그리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4-06-24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