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에 우뚝 선 이순신 장군…서울신문의 역사가 되다 [서울신문 역사관]

광화문에 우뚝 선 이순신 장군…서울신문의 역사가 되다 [서울신문 역사관]

입력 2024-01-17 14:26
수정 2024-01-17 17: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순신 장군상. 서울신문 DB
이순신 장군상. 서울신문 DB
서울 광화문 광장에 우뚝 선 ‘구국의 영웅’ 이순신 장군 동상은 어떻게 세워졌을까. 지금도 먼 바다에서 밀려오는 왜적을 노려보듯 매서운 눈빛으로 정면을 응시하는 이순신 장군상은 한국의 랜드마크가 된 것은 물론, 외국인에게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1968년 광화문 광장에 세워져 서울을 수호신처럼 지킨 이 동상은 서울신문의 역사와 궤를 같이 한다.

서울신문은 선열들의 애국충절을 되새기고 내일의 조국을 조망하기 위해 1966년부터 1972년까지 ‘애국선열 조상건립사업’을 펼쳤다. 1966년 서울시청 앞 세종로 큰 길 한가운데에 녹지대에는 37기의 석고 위인상이 있었다.

미술대생들이 작품으로 좌대를 포함해 평균 2m 정도 높이의 석고상을 세웠는데, 초라한 모습에다 훼손되기 쉬웠다. 마침 서울의 도시계획에 따라 석고상이 철거되자 서울신문이 나서서 새로운 서울의 랜드마크가 될 대형 동상 건립을 추진했다.

●“서울을 상징하는 대형 동상이 필요하다”
이미지 확대
이순신 장군상 제작 모습. 서울시 제공
이순신 장군상 제작 모습. 서울시 제공
이순신 장군상 건립 사업은 이한상 풍전산업 사장이 상금 50만원을 서울신문에 기탁하면서 물꼬를 텄다. 1966년 8월 11일 ‘애국선열 조상건립위원회’가 정식으로 발족됐다. 초대 총재에는 김종필, 부총재에는 장태화 서울신문 사장이 추대됐다. 초대 위원장은 이원우 서울신문 상무가 맡았고 20여명의 고문과 세부 분과를 마련했다.

동상 건립사업은 처음부터 난관에 부딪혔다. 국내에 제대로 주조된 대형 동상이 없어 해외 공관을 통해 외국 동상의 사진자료를 수집하는 것부터 큰 일이었다. 1966년 11월 2일 건립 대상 인물을 선정하기 위해 학계∙문화계∙관계∙교육계∙실업계 인사에게 설문을 발송했다. 이 때 1차로 건립 대상이 된 것이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다.
이미지 확대
1968년 4월 27일 이순신 장군상 건립 기념식. 서울신문 DB
1968년 4월 27일 이순신 장군상 건립 기념식. 서울신문 DB
더 큰 문제는 자금이었다. 동상 1기를 만드는데 2000만원이라는 거금이 필요했는데, 정부의 지원을 받아 어렵게 자금을 확보했다. 처음 찰흙로 동상 모습을 구현할 때는 크기가 5m 정도였다. 하지만 세종로 폭이 갑자기 100m로 확장되면서 1.5m를 높여 당시 동양 최대였던 높이 6.5m의 동상을 만들게 됐다.

●“‘탄피’ 조달까지 생각”…한국 랜드마크가 된 동상

동상 크기가 워낙 커서 몸체를 여섯 조각으로 나눠 주조한 뒤 결합하는 방식을 썼다. 주물 담당자는 당시 열악한 경제상황 때문에 충분한 구리를 조달하지 못 해 국방부에서 가져온 ‘탄피’까지 사용할 생각을 했다.

하지만 주물 주입이 원활하지 않아 결국 해체한 선박에서 나온 엔진, 놋그릇, 놋숟가락 같은 일반 고철을 사용하게 됐다. 8t에 이르는 무게를 감당할 크레인이 없어 강원 춘천 청평댐에서 작업하던 신형 크레인을 광화문 사거리까지 이동시키는 일도 있었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2년의 산고 끝에 1968년 4월 27일 광화문 사거리에 마침내 이순신 장군상이 우뚝 섰다. 서울신문은 그날의 기쁨을 사회면톱에 ‘겨레의 갈 길 밝혀 성웅 현신하다’라는 제목으로 보도했다.
이미지 확대
2023년 4월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서울시 관계자들이 이순신 장군 동상의 묵은 때를 벗겨내는 세척 작업을 하고 있다. 서울신문 DB
2023년 4월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서울시 관계자들이 이순신 장군 동상의 묵은 때를 벗겨내는 세척 작업을 하고 있다. 서울신문 DB
이순신 장군상은 2010년 훼손 부위를 보수하는 작업을 거쳤다. 내부 내시경 검사를 한 결과 21곳에 심각한 균열과 부식 현상이 발생했고, 모두 보수하는데 40일이 소요됐다. 이순신 장군상의 보수도 당시 모든 언론이 주목한 빅이슈였다. 보수팀은 우선 고압으로 모래를 쏴 외부를 청소하는 ‘샌딩 작업’을 통해 동상의 원래 색깔을 되찾았다. 용접 불량 부위는 재용접하고 용접으로 해결할 수 없는 부위는 아예 주물을 떠 새로 제작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