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신규창업 표준 살펴보니

국세청이 2일 발표한 2017년 국세통계연보 2차 조기공개자료를 보면 지난해 신규 창업은 총 122만 5000개로 이 가운데 절반이 넘는 65만개(53.0%)가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에서 창업했다.
지역별 창업자 수는 경기가 32만 9921개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서울 24만 9534개, 경남 7만 6278개 순으로 나타났다. 신규 창업자가 가장 적은 지역은 세종 9843개, 제주 2만 2010개, 울산 2만 5251개 등이다. 신규 창업자의 주요 연령대는 40대가 30.8%로 가장 많았고 50대 24.6%, 30대 24.4%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 창업자들은 법인사업자 35.1%, 일반사업자 32.6%, 간이사업자 25.5%, 면세사업자 31.1% 등 모든 사업자 유형에서 가장 많았다.
신규 창업자들이 선호하는 개업 달도 뚜렷하게 구분됐다. 지난해 가장 많이 사업을 일으킨 달은 3월로 11만 3877개의 사업자가 새로 생겨났다. 12월 10만 9621개, 6월 10만 8414개 순서다. 창업을 적게 한 달은 일수가 가장 적은 2월로 8만 6339개 신규 사업장이 문을 열었다. 추석 연휴가 있었던 9월에는 9만 964개, 설 연휴가 있었던 1월에는 9만 8596개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수입분을 제외한 주류 국내 출고량은 368만㎘로 전년 380만 4000㎘에 비해 3.3% 감소했다. 편의점에서 4캔에 1만원씩 판매하는 등 수입맥주업계의 공격적인 마케팅 영향으로 분석된다. 출고된 주류별로는 맥주가 197만 9000㎘로 전체의 53.8%를 기록했다. 그 뒤는 희석식 소주 93만 2000㎘, 탁주 40만㎘가 이었다.
지난해 수입금액이 1000억원을 넘어 법인세를 신고한 법인은 3502개다. 2015년(3434개)에 비해 2% 늘었다. 세수 100원당 징세비는 0.65원으로 전년의 0.71원에 비해 8.5% 감소했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7-11-03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