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소비 트렌드 변화
화장품 구매 증가도 6%로 커
실제는 거리두기 탓 외출 적어
신발 구매는 2년 연속 뒷걸음

●전년 가전품·車 구입 21%·16%씩↑
7일 통계청의 ‘2021년 연간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된 금액을 뜻하는 소매판매액 지수는 2020년보다 5.5% 상승했다.
소매판매는 자동차 등 내구재, 옷 같은 준내구재, 음식이나 화장품을 포함한 비내구재로 나뉜다. 지난해에는 준내구재 판매가 12.4% 늘어 내구재(5.1%)와 비내구재(3.1%)에 비해 증가 폭이 월등히 컸다.
준내구재 중에서도 가방(38.1%)과 의복(15.0%)이 특히 크게 늘었다. 2020년의 경우 가방과 의복은 각각 32.1%와 17.4% 감소하는 등 소비가 침체했는데 지난해 반전을 이뤘다. 외출을 준비한 사람들이 꾸미기 위해 가방과 옷을 산 것으로 해석된다. 비내구내 중 화장품(6.2%)도 증가 폭이 컸던 점이 이런 해석을 뒷받침한다. 재작년 물건을 사지 못했던 것에 대한 보복소비 심리도 일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런 소비 패턴은 2020년과는 사뭇 다른 것이다. 2020년에는 내구재 소비 증가(11.2%)가 두드러졌고 이 중에서도 승용차(16.3%)와 가전제품(21.2%)이 많이 팔렸다. 당시 코로나19에 대한 공포가 컸던 터라 외출을 자제한 대신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자동차 등으로 소비를 돌렸던 것이다. 승용차(-0.3%)와 가전제품(9.5%)의 경우 지난해에도 소비가 위축되지 않고 거의 제자리걸음을 했거나 증가했다.
●온라인 식품시장은 58조 규모 최대
하지만 지난해의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실제 외출할 기회가 많지 않았던 탓인지 신발 구매는 2년 연속 뒷걸음질쳤다. 2020년 판매가 20.2% 줄었던 신발은 지난해에도 2.2% 감소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외부활동이 늘었지만 과거에 비해선 부족한 수준이다 보니 신발과 같은 준내구재 판매는 크게 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온라인 식품시장 규모는 58조원대로 확대돼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늘면서 음식서비스(배달) 거래액은 25조 6847억원으로 전년보다 48.2% 늘었다.
2022-02-08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