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달러·변동성 장세에 배당주펀드·달러선물 ETF 관심 높아져

킹달러·변동성 장세에 배당주펀드·달러선물 ETF 관심 높아져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2-09-18 12:24
수정 2022-09-18 12: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강도 높은 긴축으로 ‘킹달러’ 기조가 이어지고, 주식시장의 변동성은 커지면서 미국 달러 선물에 투자하는 달러 선물 상장지수펀드(ETF)의 수익률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또 배당을 많이 주는 종목에 주로 투자하는 배당주펀드에도 자금이 몰리고 있다.

18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달 15일 기준 달러 선물 레버리지 ETF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35%를 넘었다. 달러선물 ETF는 달러선물 지수를 기초로 삼아 달러화 가치의 상승에 따라 수익을 내는 구조다. 특히 레버리지 상품은 지수 상승분의 2배만큼 수익을 낼 수 있다. 수익률 산정 기간을 최근 6개월로 봐도, 달러 선물 레버리지 ETF는 모두 25% 이상의 수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달러 선물 ETF들도 15% 이상의 수익률을 거둔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달러 가치가 하락해야 이득을 볼 수 있는 달러 선물 인버스 ETF의 손실은 컸다. 시장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는 만큼 달러 선물 ETF에 대한 관심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금리 상승 등으로 변동성 장세가 길어지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배당주 펀드로 투자자들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국내 배당주 펀드에는 올해 들어 4875억원의 돈이 유입됐다. 지난 16일 기준 총 설정액은 8조 9285억원 규모다.

배당주 펀드는 안정적인 이익을 바탕으로 높은 배당수익률을 유지하는 종목에 투자하는 주식형 펀드다. 주가가 오르지 않아도 배당 시점까지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가 배당금을 받아 주가 하락에 따른 손실을 만회하는 구조다. 주식형 펀드인 만큼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