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지역 미분양 주택이 5개월째 감소세를 보이고 외지인 주택매입이 늘어나면서 제주도 부동산시장이 다시 꿈틀대고 있다. 사진은 제주시내 도심 모습. 제주 강동삼 기자
#4월 미분양주택 2534가구로 전월보다 1.1% 줄어…‘악성’ 준공후 미분양주택도 1.3% 감소지난해 역대 최고치까지 급증세를 보였던 제주지역 미분양 주택이 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부동산시장이 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30일 발표한 올해 4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제주지역 4월 미분양 주택은 2534가구로 전달보다 27가구, 1.1% 줄었다.
지난해 11월 2851가구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던 제주지역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12월 2807가구, 올해 1월 2674가구, 2월 2624가구, 3월 2561가구 등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주택시장이 꿈틀거리고 있다. 전국적인 규모에서도 수도권과 세종을 제외하고 광주와 대전 충북에 이어 네 번째로 적은 물량이다.
미분양 주택중 ‘악성’으로 불리는 준공후 미분양 주택도 4월 1584가구로 전달보다 21가구, 1.3% 줄었다. 지난해 12월 1746가구로 2018년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치에서 올해 3월 1605가구, 4월 1584가구 등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더욱이 외국인들의 주택매입도 꾸준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토부가 공개한 ‘외국인 토지·주택 보유통계’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제주지역에 외국인이 보유한 주택은 1754가구로 집계됐다. 이 중 아파트·연립·다세대 등 공동주택이 1176가구, 단독주택은 569가구다.

중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아 제주 속의 작은 중국으로 불리는 제주시 연동7길에 조성된 누웨마루거리. 제주 강동삼 기자
#외국인 보유주택 지난해 3.6% 늘어…외지인 주택매입도 지난 3월 전년보다 85.0% 증가외국인 보유 주택은 2022년말 기준 1588가구에서 2023년 1689가구로 1년 사이 101가구 증가한데 이어 지난해에도 61가구(3.6%) 더 늘었다.
제주에 주택을 소유한 외국인도 1504명에서 지난해 1577명으로 증가했다. 작년 한 해동안 최소 73명 이상의 외국인이 새로 제주에서 주택을 매입한 셈이다.
아직까지 외국인 보유주택은 제주도 전체 주택의 0.6% 수준에 불과하지만, 수려한 자연 환경을 낀 관광지 매력에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제주에서 외국인 보유 토지도 다시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외국인이 보유한 제주지역 토지는 2179만㎡로, 우도면적(656만㎡)의 3.3배가 넘는다. 공시지가로는 5916억원에 달한다.
특히 지난달 발표한 ‘3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외지인의 주택 매입은 148가구로 전년동기보다 85.0% 증가했다. 2023년 5월(157건) 이후 2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부동산 공약과 관련해 재건축·재개발 완화, 유휴부지 개발 등을 통한 주택 공급 확대를 피력하고 “세금으로 집값을 잡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바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