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보육기업 헤세드릿지, 딜라이트룸에 3년 째 달램 웰니스 프로그램 운영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보육기업 헤세드릿지, 딜라이트룸에 3년 째 달램 웰니스 프로그램 운영

입력 2025-06-05 09:10
수정 2025-06-05 09: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웰니스 앱 ‘알라미’ 운영사, 2022년부터 사내 교정 테라피 복지 도입
-구성원 건강과 몰입 위한 복지에 전략적으로 투자하는 딜라이트룸의 조직문화
이미지 확대


전 세계 8,200만 명의 아침을 깨우는 웰니스 앱 ‘알라미(Alarmy)’를 운영하는 딜라이트룸(대표 신재명)이, 2022년부터 3년째 웰니스 전문 기업 ‘달램’과 함께 교정 테라피 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임직원 건강과 몰입을 위한 진정성 있는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딜라이트룸은 단발성 이벤트나 일회성 복지보다, 조직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인재 몰입을 위한 전략적 관점에서 복지를 운영해왔다. 단순히 “좋아 보이는 제도”가 아닌, 조직과 구성원 모두의 컨디션을 근본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실질적인 복지 인프라를 설계하고 있으며, 달램과 함께한 웰니스 프로그램은 그 방향성을 잘 보여주는 대표 사례다.

달램의 교정 테라피 프로그램은 점심시간을 활용해 구성원이 사내에서 월 2회, 회당 40분간 전문 테라피를 받을 수 있도록 기획됐다. 초창기에는 주 2회 20분으로 운영되었으나, 구성원의 요청과 호응에 따라 현재는 주 4회 40분까지 확대되었으며, “예약이 수강신청처럼 순식간에 마감될 정도로 인기가 높고, 지금까지 단 한 명의 불만족도 없었다”는 것이 Peaple&Culture팀의 설명이다.

딜라이트룸은 무제한 휴가, 유연 근무, 건강식 식사, 모션 데스크, 헬스장, 수면실 등 전방위적인 웰니스 인프라를 구축하며, 구성원이 스스로의 리듬에 맞춰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러한 복지 철학의 연장선에서 달램과 함께 운영 중인 교정 테라피 프로그램은 단순한 복지를 넘어, 몸과 마음의 건강을 동시에 아우르는 핵심 제도로 자리 잡았다.

People & Culture팀 매니저 신스(Since)는 “우리는 복지를 소비가 아닌 투자로 생각한다”며 “달램은 건강, 몰입, 회복이라는 키워드를 조직에 일상적으로 녹여주는 핵심 파트너”라고 말했다. 실제로 구성원의 피로 회복은 물론, 업무 집중력과 조직 전반의 활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내부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People & Culture 매니저 이브(Eve)는 “달램은 구성원이 ‘존중받고 있다’는 감정을 느끼게 해주는 복지”라며, “담당 선생님이 구성원을 기억하고 맞춤 케어를 제공해주는 점도 만족도를 높이는 이유 중 하나다. 복지 담당자로서도 운영 리소스가 거의 들지 않아 효율성과 체감 만족도가 모두 뛰어나다”고 전했다.

딜라이트룸은 소수정예의 밀도 높은 인재들이 서로에게 동기부여가 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조직을 지향한다. 단순히 좋은 사람이 아닌, 좋은 사람들과 함께 좋은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팀을 추구하며, 이를 위한 기반으로 웰니스 중심의 복지를 강화해왔다. 앞으로도 ‘좋은 팀’이 함께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구성원의 건강과 몰입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복지 전략을 이어갈 계획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