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모습. 연합뉴스
비대면·디지털화에 따라 오프라인 은행 점포 감소가 가속하는 가운데, 은행권이 점포 폐쇄에 따른 금융 취약계층의 불편 해소 차원에서 공동으로 디지털 점포를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은 올해 초부터 금융당국과 함께 한 점포에 여러 은행이 입점하는 형태의 ‘공동 디지털 점포’ 설치 및 추진을 협의하고 있다. 공동 디지털 점포는 각 은행이 설치한 스마트텔러머신(STM) 및 화상디지털데스크(ITM) 등의 디지털 기기로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는 형태의 영업점이다.
이번 공동 디지털 점포가 현실화한다면 한 지붕 아래 5대 은행이 공동으로 점포를 운영하게 된다. 예·적금, 대출, 펀드 등 금융상품 가입 및 은행 직원과 화상으로 상담하며 대부분의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퇴직 은행 직원을 재고용해 디지털 기기가 익숙하지 않은 노령층, 장애인 등 금융 취약계층의 이용을 돕는 역할을 맡기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은행권이 이러한 형태의 점포 활성화에 나서는 이유는 금융 소비자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그간 비대면 은행 거래가 늘면서 비용·인력의 효율성 제고를 이유로 은행 점포 숫자가 가파르게 줄어들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국내 은행 점포 수는 지난해 기준으로 5792곳으로, 10년 전(7557곳)과 비교해 23.36%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은행이 한 공간을 공유하는 ‘공동점포’가 있지만,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5곳이 개설된 이후 지지부진한 상태다. 은행권 관계자는 “두 은행이 한 곳에서 영업하기 때문에 임대료, 영업 기밀 누설 등 민감한 부분이 있고, 지방의 경우 수도권보다 수익성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어 설립이 쉽지 않은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은행권에서는 공동 디지털 점포 활성화를 위한 유인책 마련을 정부에 요청한 상태다. 기존 점포를 폐쇄하고 공동 디지털 점포를 대체 수단으로 인정하는 식인데, 이 경우 금융 소외 지역에도 공동 디지털 점포를 설치할 유인이 생긴다. 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은행대리업’ 제도와 연계하면 전국 2500여개 우체국 등에서 은행 업무를 처리하는 등 시너지 효과도 낼 수 있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공약인 ‘소외지역 등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금융 점포 운영’을 낸 바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