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신문DB
서울 동대문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취업게시판에 다양한 취업정보가 붙어 있다.
서울신문DB
서울신문DB
올해 상반기 채용시장에서 기업 10곳 중 8곳이 경력직을 선호하는 가운데 청년 구직자 절반 이상은 재학 중 직무 경험을 쌓지 못했다고 답해 경력 중심 채용이 취업 진입 장벽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4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상반기 채용시장 특징과 시사점 조사’에 따르면 민간 채용 플랫폼에 올라온 상반기(1~5월) 채용 공고 14만 4181건 중 82.0%가 경력직만 채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과 경력을 병행 채용하는 기업은 15.4%였고, 신입만 채용하는 기업은 2.6%에 그쳤다.
대한상의가 대졸 청년 구직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에서는 53.9%가 경력 중심 채용을 가장 큰 취업 진입 장벽으로 꼽았고, 53.2%는 대학 재학 중 직무 경험을 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이밖에 구직자와 기업 간 연봉 미스매치도 여전한 문제로 지적됐다. 상반기 대졸 청년 구직자의 평균 희망 연봉은 4023만원으로, 신입 채용 공고 평균인 3708만원보다 315만원 높았다. 또 청년 62.2%는 대기업·중견기업을 선호한 반면 중소기업·스타트업을 선호하는 비율은 14.9%에 그쳤다.
수도권 청년들의 비수도권 취업에 대한 인식 변화도 감지됐다. 수도권 거주 구직자의 63.4%가 “좋은 일자리가 있다면 비수도권에서도 취업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비수도권 취업을 위한 조건으로는 높은 급여(78.9%) 외에도 복지(57.1%), 워라밸(55.8%), 고용 안정(42.5%), 커리어 개발(29.1%) 등이 주요 고려 조건으로 나타났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