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H’ 고성능 카메라… KT ‘Be Y’ 지문인식… SK도 ‘루나2’ 새달 출시
올해 하반기도 통신 3사의 전용폰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질 전망이다. KT와 LG유플러스가 각각 중국 제조사 화웨이의 스마트폰을 전용폰으로 내놓은 데 이어 지난해 ‘루나’로 전용폰 돌풍을 일으켰던 SK텔레콤의 후속작도 조금씩 베일을 벗고 있다. 지난해에는 통신사들이 출고가 10만~40만원대의 중저가 스마트폰들을 내놓으며 ‘전용폰=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라는 공식이 자리잡았지만, 점차 눈 높은 이용자들을 겨냥한 프리미엄급 제품까지 전용폰으로 등장할 태세다.
LG유플러스 ‘H’

KT ‘Be Y’
‘루나2’가 주목받는 것은 ‘가성비’를 강조했던 전작과 달리 가격과 성능을 높인 준(準)프리미엄 제품이 될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루나’는 출시 당시 출고가 49만 9900원에 풀메탈 보디와 5.5인치 풀HD 디스플레이, 고성능 카메라 등을 갖춰 가성비 높은 제품으로 인기를 모았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루나2’가 삼성전자, 애플, LG전자 등 주요 제조사들의 프리미엄 스마트폰에 버금가는 성능을 갖추고 가격은 전작보다 높은 50만~60만원대로 책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중저가 스마트폰보다 사양 높은 제품을 원하지만 80만~90만원대의 기존 프리미엄 스마트폰이 부담스러운 이용자들을 겨냥한다는 전략이다.
KT와 LG유플러스는 화웨이 스마트폰을 내놓으며 전용폰에 힘을 싣고 있다. ‘X3’와 ‘Y6’ 등 화웨이 스마트폰을 통신 3사 중 최초로 출시한 LG유플러스는 29일 화웨이의 스마트폰 ‘Y6 2’를 ‘H’라는 이름으로 출시했다. 5.5인치 대화면과 3000mAh 용량의 배터리, 후면 1300만 화소 카메라 등을 갖췄으며 출고가는 24만 2000원으로, 동급 기종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유했다는 게 LG유플러스의 설명이다. 삼성전자 등 국내 제조사들의 제품을 전용폰으로 출시해왔던 KT도 화웨이와 손을 잡았다. KT가 지난 1일 출시한 ‘Be Y’폰은 화웨이의 최신 스마트폰인 ‘P9 라이트’를 국내 시장에 맞게 현지화한 제품으로, 31만 6800원의 출고가에 프리미엄 스마트폰에서 지원하던 지문인식 기능을 탑재했다. 화웨이가 구글 레퍼런스폰으로 제작해 국내에 내놓았던 ‘넥서스 6P’(출고가 59만 9500원)를 제외하면 화웨이가 국내에 출시한 스마트폰 중 가장 출고가가 높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6-09-3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