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폰도 프리미엄 전쟁

통신사폰도 프리미엄 전쟁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6-09-29 18:14
수정 2016-09-29 18: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LG ‘H’ 고성능 카메라… KT ‘Be Y’ 지문인식… SK도 ‘루나2’ 새달 출시

올해 하반기도 통신 3사의 전용폰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질 전망이다. KT와 LG유플러스가 각각 중국 제조사 화웨이의 스마트폰을 전용폰으로 내놓은 데 이어 지난해 ‘루나’로 전용폰 돌풍을 일으켰던 SK텔레콤의 후속작도 조금씩 베일을 벗고 있다. 지난해에는 통신사들이 출고가 10만~40만원대의 중저가 스마트폰들을 내놓으며 ‘전용폰=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라는 공식이 자리잡았지만, 점차 눈 높은 이용자들을 겨냥한 프리미엄급 제품까지 전용폰으로 등장할 태세다.

이미지 확대
LG유플러스 ‘H’
LG유플러스 ‘H’
이미지 확대
KT ‘Be Y’
KT ‘Be Y’
29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지난해 9월 출시해 20만대 이상 판매한 ‘루나’의 후속작 ‘루나2’(가칭)를 다음달 내놓는다. 정식 출시에 앞서 다음달 5일에는 ‘루나’의 제조사인 TG앤컴퍼니가 휴대전화 유통점 관계자들에게 ‘루나2’를 공개하는 행사를 연다. ‘루나2’는 전작처럼 SK텔레콤과 TG앤컴퍼니가 기획하고 대만 폭스콘에 생산을 맡겨 제조하는 제품으로 알려졌다.

‘루나2’가 주목받는 것은 ‘가성비’를 강조했던 전작과 달리 가격과 성능을 높인 준(準)프리미엄 제품이 될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루나’는 출시 당시 출고가 49만 9900원에 풀메탈 보디와 5.5인치 풀HD 디스플레이, 고성능 카메라 등을 갖춰 가성비 높은 제품으로 인기를 모았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루나2’가 삼성전자, 애플, LG전자 등 주요 제조사들의 프리미엄 스마트폰에 버금가는 성능을 갖추고 가격은 전작보다 높은 50만~60만원대로 책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중저가 스마트폰보다 사양 높은 제품을 원하지만 80만~90만원대의 기존 프리미엄 스마트폰이 부담스러운 이용자들을 겨냥한다는 전략이다.

KT와 LG유플러스는 화웨이 스마트폰을 내놓으며 전용폰에 힘을 싣고 있다. ‘X3’와 ‘Y6’ 등 화웨이 스마트폰을 통신 3사 중 최초로 출시한 LG유플러스는 29일 화웨이의 스마트폰 ‘Y6 2’를 ‘H’라는 이름으로 출시했다. 5.5인치 대화면과 3000mAh 용량의 배터리, 후면 1300만 화소 카메라 등을 갖췄으며 출고가는 24만 2000원으로, 동급 기종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유했다는 게 LG유플러스의 설명이다. 삼성전자 등 국내 제조사들의 제품을 전용폰으로 출시해왔던 KT도 화웨이와 손을 잡았다. KT가 지난 1일 출시한 ‘Be Y’폰은 화웨이의 최신 스마트폰인 ‘P9 라이트’를 국내 시장에 맞게 현지화한 제품으로, 31만 6800원의 출고가에 프리미엄 스마트폰에서 지원하던 지문인식 기능을 탑재했다. 화웨이가 구글 레퍼런스폰으로 제작해 국내에 내놓았던 ‘넥서스 6P’(출고가 59만 9500원)를 제외하면 화웨이가 국내에 출시한 스마트폰 중 가장 출고가가 높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6-09-3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