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연내 142조원 갚아야 하는데…전 세계 금리 인상에 신용위기 우려

기업들, 연내 142조원 갚아야 하는데…전 세계 금리 인상에 신용위기 우려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2-05-09 18:41
수정 2022-05-09 23: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만기 도래 회사채 급증…부도 위험
3년 만기 국고채 금리 연3% 돌파
이미지 확대
기업들이 올해 갚아야 하는 회사채와 기업어음(CP) 규모가 142조원에 이르지만 전 세계 주요국의 금리가 오르면서 자금조달에 경고등이 켜졌다. 특히 신용도가 낮은 한계기업의 부도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9일 금융투자업계와 코스콤 등에 따르면 올해 말까지 자산유동화증권(ABS)을 포함해 만기가 돌아오는 기업 회사채(금융채 제외)는 지난 4일 기준 92조 4084억원으로 집계됐다.

1년 안에 만기 도래하는 단기 자금인 기업어음(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포함) 규모는 전체 잔존액(233조 3818억원)의 85% 수준인 200조 967억원이다. 이 중 6개월(180일) 안에 만기가 돌아오는 규모는 49조 5000억원 수준이다. 기업들이 연말까지 갚아야 하는 회사채와 기업어음 규모만 142조원에 달하는 셈이다.

기업어음은 자금 융통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기업들이 주로 활용하는 자금조달 수단이다. 만기가 짧아 단기 상환 부담이 있고 이 때문에 자칫 자금흐름에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시장 금리가 오르면서 기업들의 자금 조달은 갈수록 어려워지는 모양새다. 올해 1분기 공모 무보증사채의 수요예측 규모는 12조 3000억원(145건) 규모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 감소했다. 올해 1분기 회사채 순 발행은 2조 6300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8조 2700억원보다 대폭 줄었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10년 만에 최고치로 뛰어 연 3%를 넘었다. 3년 만기에 ‘신용등급 AA―’ 무보증 회사채 금리는 지난 4일 연 3.887%로 2년도 안 돼 2.4배 뛰었다. 신용등급이 ‘BBB―’로 더 낮은 무보증 회사채 금리는 연 9.723%로 올라 10% 돌파를 앞두고 있다. 한미 통화당국이 내년 초까지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한 가운데 비우량 기업들이 단기 자금시장으로 몰리면 신용위험은 더 높아질 전망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