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부터 도시가스에 수소 20%를 혼입해 공급하는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 정부가 ‘도시가스 수소혼입 실증’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가스안전공사, 가스공사, 도시가스사, 에너지기술평가원 등과 함께 ‘도시가스 수소혼입 실증 추진단’을 발족했다.
이 사업은 도시가스 정압시설에 수소혼입시설을 설치해 도시가스 배관망으로 ‘수소+천연가스’를 공급하는 것으로 수소를 섞어 연료를 공급해 도시가스 사용량을 줄이고 온실가스 발생량을 줄이는 사업이다.
우리나라의 연간 천연가스 사용량은 4000만톤인데 수소를 10vol%(볼륨퍼센트) 혼입하면 연간 129만톤의 천연가스 사용을 줄여 연간 355만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다. 수소혼입이 상용화되면 가정용 가스보일러 및 가스레인지와 산업용 보일러, CNG(압축천연가스) 버스는 물론 발전용 가스터빈 등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모든 가스기기에 수소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도시가스 수소혼입을 구체화하려면 도시가스 배관망 및 사용기기에 대한 수소 호환성과 안전성 검증이 필요하기 때문에 추진단은 2026년까지 도시가스에 수소 20%를 혼입하는 것을 목표로 실증을 추진하기로 했다. 기관별로는 가스안전공사가 도시가스 배관에 대한 수소취성 평가, 수명 예측, 사용기기의 안전성 검증을 담당한다. 가스공사와 도시가스사는 해외 실증사례 분석, 시험설비 구축, 수소혼입 실증 및 운영기술 개발을 담당하기로 했다.
이 사업은 도시가스 정압시설에 수소혼입시설을 설치해 도시가스 배관망으로 ‘수소+천연가스’를 공급하는 것으로 수소를 섞어 연료를 공급해 도시가스 사용량을 줄이고 온실가스 발생량을 줄이는 사업이다.
우리나라의 연간 천연가스 사용량은 4000만톤인데 수소를 10vol%(볼륨퍼센트) 혼입하면 연간 129만톤의 천연가스 사용을 줄여 연간 355만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다. 수소혼입이 상용화되면 가정용 가스보일러 및 가스레인지와 산업용 보일러, CNG(압축천연가스) 버스는 물론 발전용 가스터빈 등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모든 가스기기에 수소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도시가스 수소혼입을 구체화하려면 도시가스 배관망 및 사용기기에 대한 수소 호환성과 안전성 검증이 필요하기 때문에 추진단은 2026년까지 도시가스에 수소 20%를 혼입하는 것을 목표로 실증을 추진하기로 했다. 기관별로는 가스안전공사가 도시가스 배관에 대한 수소취성 평가, 수명 예측, 사용기기의 안전성 검증을 담당한다. 가스공사와 도시가스사는 해외 실증사례 분석, 시험설비 구축, 수소혼입 실증 및 운영기술 개발을 담당하기로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