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스타트업 상생 생태계 만든 LG

中企·스타트업 상생 생태계 만든 LG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22-05-24 17:38
수정 2022-05-25 02: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지난해 LG소셜캠퍼스 중 사회적기업의 성장을 돕는 ‘LG소셜펠로’에 선정된 기업인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LG그룹 제공
지난해 LG소셜캠퍼스 중 사회적기업의 성장을 돕는 ‘LG소셜펠로’에 선정된 기업인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LG그룹 제공
LG그룹은 코로나19 장기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 협력회사와 스타트업 등을 지원하며 상생 생태계 조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앞서 LG는 지난 1월 설 연휴를 앞두고 자금 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 협력회사를 돕기 위해 1조 3000억원 규모의 납품대금을 조기 지급했다.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LG CNS 등 8개 계열사는 예정 지급일보다 최대 13일까지 앞당겨 설 연휴 전에 지급했다. 협력회사들이 명절을 앞두고 원자재 대금 결제, 상여금과 임금 지급 등으로 소요되는 자금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그룹 차원의 결정이었다.

LG전자는 2013년부터 협력사가 기술자료를 임치할 때 드는 비용을 전액 지원하고 있다. 기술자료 임치란 거래 관계에 있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서로 합의해 중소기업의 기술자료를 신뢰성 있는 대·중소기업과 농어업협력재단에 안전하게 보관함으로써 기술 유출 및 탈취의 위험을 줄이는 제도다. LG전자는 지난해 협력회사의 기술자료 임치를 204건 지원했다. 이는 국내 대기업 중 가장 많다. LG전자는 지난해까지 총 1400건 이상의 기술자료 임치를 도왔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부터 협력사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지난 2월 ‘2022 파트너스 데이’ 행사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코로나19 팬데믹 및 경기 침체 등 경영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글로벌 배터리 선도업체로서 지위를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해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LG에너지솔루션은 구매 부문 내 ‘배터리 셀·팩 상생팀’을 신설하고, 회사의 경험과 기술력을 활용해 협력사의 다양한 혁신 활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해 나갈 계획이다.

LG는 친환경 스타트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돕는 사회공헌 프로그램 ‘LG소셜캠퍼스’를 통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제 생태계 조성에도 앞장서고 있다.



2022-05-2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