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빙·웨이브 조건부 합병… 넷플 대항마, 토종 ‘공룡 OTT’ 기대
넷플릭스發 출연료·제작비 인플레업계 “콘텐츠로 시장 규모 늘려야”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인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이 ‘9부 능선’을 넘으면서 넷플릭스에 대항할 토종 ‘공룡 OTT’의 출현에 기대감이 쏠리고 있다. 그러나 이미 거대 외국 플랫폼에 의해 왜곡된 OTT 생태계를 되돌리기엔 역부족이라는 회의론도 나온다.
12일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티빙과 웨이브의 월간 활성 사용자(MAU)는 각각 715만 8800명, 412만 5283명으로 집계됐다. 합산하면 1128만 4083명으로, 그간 1위를 독식했던 넷플릭스(1450만 5305명)에 맞먹는 수준이다.
이 때문에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이 마무리되면 두 회사가 넷플릭스와 대등한 수준의 협상력과 주도권을 쥘 수 있는 ‘규모의 경제’를 펼칠 수 있다는 낙관론이 줄을 이었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K콘텐츠’ 시장에 전향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새 정부와의 시너지도 기대를 모았다.
다만 업계에서는 시큰둥한 반응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한 사람이 2~3개의 OTT를 이용하는 경우도 많아 합병하더라도 단순 합산한 만큼 이용자가 늘진 않을 것”이라며 “결국 좋은 콘텐츠를 많이 공급해 전체 구독 시장의 규모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한정된 시장 안에서 국내 플랫폼끼리 밥그릇 싸움을 할 게 아니라, 신규 이용자를 영입할 수 있는 콘텐츠 싸움이 관건이란 뜻이다.
문제는 넷플릭스발 콘텐츠 수급 비용 인플레이션이다. 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넷플릭스로 수급 비용이나 출연료, 제작비 등이 굉장히 높아져 있다”며 “(티빙·웨이브 합병으로) 그런 구조적인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콘텐츠의 다양성 측면에서 저예산 콘텐츠를 생산하는 중소 플랫폼을 육성할 트랙도 생겨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주 동의와 실무적 통합 등 추가 합병 절차도 남아 있다. 합병을 위해 티빙과 웨이브 모두 주요 주주의 동의가 필요한데, 티빙의 2대 주주인 KT스튜디오지니는 현재까지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전성민 가천대 경영학과 교수는 “국내 OTT 플랫폼을 단순한 민간 기업이 아닌 K문화의 근간으로 보고 정부가 함께 글로벌 플랫폼에 대항해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제언했다.
2025-06-1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