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정원에서 에스메와의 자화상(Self-Portrait with Esme in the Garden)/샹탈 조페 · 말하고 싶지 않은 말/이바라기 노리코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정원에서 에스메와의 자화상(Self-Portrait with Esme in the Garden)/샹탈 조페 · 말하고 싶지 않은 말/이바라기 노리코

입력 2022-09-15 20:30
수정 2022-09-16 02: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영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는 자신과 주위의 가까운 여성을 담은 초상화를 선보인다. 작품은 작가 자신과 딸 에스메가 팬데믹 시기에 런던 집의 여름 정원에 있는 모습. 12월 4일까지 경기 양평 구하우스 미술관.

말하고 싶지 않은 말/이바라기 노리코

마음속에 강한 압력을 가해

남몰래 감춰둔 말

소리 내 말하면

글로 써내면

순식간에 빛이 바래리라

그 말로 인해

나 여기 있으나

그 말로 인해

나 살아갈 힘을 얻으나

남에게 전하려 하면

너무도 평범해져

결코 전하지 못하리라

그 사람 고유의 기압 내에서만

생명을 얻는 말도 있는 법이다

한 자루의 초처럼

격렬히 타올라라 완전히 타버려라

제멋대로

어느 누구의 눈에도 닿지 않고

말을 많이 한 날은 영혼이 텅 빈 자루가 된 기분입니다. 진실에 다가가려 할수록 언어는 쉽게 모양을 바꾸니까요. 말을 보탤수록 원래 뜻과 멀어져 웅변이 되고, 얄팍해지고, 생기 없는 말이 되곤 합니다. 시인은 한 사람만이 가진 고유의 ‘기압’ 내에서만 살아나는 말이 있다고 합니다. 발화를 거치지 않고 혀 아래 꼭꼭 다져 놓은 말. 불꽃처럼 격렬히 타올랐다가 자신의 내부에서 고요히 사그라드는 말. 그런 말은 침묵을 연료로 해야 뜨겁게 타오를 수 있다지요. 초 한 자루를 태우는 시간 동안 입을 다물고 싶습니다. 고체였던 초가, 액체 상태의 촛농이 되어 흐르고, 다시 기체로 몸을 바꾸는 과정을 떠올려 봅니다. 말이 생각이 되어 고요히 맺혔다가, 뜨겁게 내면을 바꾸는 힘을 믿고 싶어집니다.

신미나 시인
2022-09-16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