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택수 노작홍사용문학관장·시인
사내는 무너진 돌담의 돌을 이리 뒤집고 저리 뒤집으며 무언가를 찾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아무렇게나 돌을 올려놓거나 틈 사이에 끼워 넣으면 될 것 같은데 그것이 아니었다. 그는 이미 쌓아 올린 돌들을 다시 허물어서 퍼즐을 맞추듯 작업을 원점으로 되돌리는 걸 망설이지 않았다. 공들여 쌓은 탑을 무너뜨리면서까지 재구축을 하는 질서에 무슨 비의가 담겨 있을까. 언뜻 대수롭지 않아 보이기도 했으나 그 일거수일투족에서 한 분야에 천착하는 장인들 특유의 고집스러움과 오랜 세월 갈고닦은 기술들에서 뿜어져 나오는 고유한 여유 같은 것이 느껴졌다.
옆에서 호기심을 누르지 못하고 지켜보고 있던 나의 질문에 대한 그의 답은 기대와는 달리 단순했다.
‘뭘 찾긴? 보면 몰라? 돌들은 끼워 맞출 수 있는 모가 최소한 여덟 군데는 있거든. 뚫어져라 잘 봐. 축담의 기술은 바로 돌과 돌의 궁합을 찾는 일이야.’
돌과 돌 사이에도 궁합이 있다니! 저마다의 다른 개성과 곡절을 지닌 돌들이 여덟 개의 각을 갖고 있다면 그것은 세상의 모든 돌들이 자신의 체질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요철의 결합 가능성에 따라 전체에 복무할 수 있다는 말이었다. 그렇다면 거기에 쓸모없는 돌은 있을 수 없을 것이었다. 모가 나서 정 맞는 일도 없을 것이었다. 매사에 원만치 못해 외로움을 자처하며 사는 나로선 여간 위로가 아닐 수 없었다. 돌담의 어디에 나도 슬쩍 끼어 있고 싶어졌다. 그 속에서라면 못난 것도 모난 것도 다 아름다운 일일 것만 같았다. 가던 길을 접고 장인의 일을 거들고 나선 데에는 여행자의 흥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교감이 있었다고 해야 한다.
그에 따르면 인연 없는 돌들의 친교를 맺어 주는 공정 가운데 빠질 수 없는 것이 틈을 빚는 일이었다. 돌과 돌 사이의 틈을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에 따라 바람이나 지진 같은 외부의 충격을 슬기롭게 조절할 수 있다. 충격이 오면 틈을 따라 돌들이 흔들리고, 흔들림은 돌담을 새떼의 군무처럼 구불거리게 하면서 충격을 리듬으로 전환한다. 그리하여 돌담은 숨골처럼 뚫린 수많은 틈들로 하여 들고나는 바람과 미세하게 변화하는 땅의 굴곡을 놓치지 않고 반응을 하는 반죽물의 상태를 살아간다. 이 틈들이 더러 결정된 구조물을 허물어 불편케 하는 것도 사실이나, 미완의 구조물을 수리하는 수고를 기꺼이 떠안음으로써 세계의 변화에 참여하는 보람을 누리게 된다. 또한 자신의 몸과 정신을 대지와의 근원적 연대감 속에 단련시킬 수 있다.
돌이 장인의 기호라면 돌과 돌 사이의 틈은 돌들이 기호로 굳어져 있으면서도 꿈틀거리면서 숨을 쉬게 하는 여백이었다. 그것이 바로 숨쉬는 담이었다. 편하기로 따지면 보르크벽도 있겠지만, 놀라운 것은 숨구멍을 틀어막힌 벽들이 오히려 태풍에는 약하다고 했다.
유년 시절 고샅으로 난 돌담길을 따라 걷다 보면 돌과 돌이 투박한 입술로 부르는 휘파람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추석 앞 태풍에 얼마 남지 않은 그 돌담들 무사할까. ‘좋은 담장은 좋은 이웃을 만든다’고 했던 로버트 프로스트의 ‘담장수리’를 펼쳐 본다.
2022-09-08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