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가경의 배회의 기술] 몰입의 자리/작가

[김가경의 배회의 기술] 몰입의 자리/작가

입력 2022-09-06 20:34
수정 2022-09-07 02: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가경 작가
김가경 작가
도서관에 수업을 하러 가기 위해 우암부두를 둘러 가는 버스를 탔다. 차가 막혀서 밖을 보니 대형롤러를 장착한 차량 한 대가 차선을 막고 있었다. 소막마을 입구에 도로포장 공사가 한창이었다. 소막마을은 일제강점기 가축 수탈을 위해 조성된 곳이었다. 나무로 만든 수십 개의 빈 축사에 피란민들이 모여들어 지금의 마을을 이루었다. 집에서 네댓 코스 되는 곳이지만 아직 가 보지를 못했다. 버스 안에서 동네 전경을 훑다가 도로포장공사 현장으로 다시 눈길을 돌렸다. 공사차량 뒤편에 특이하게 ‘다짐횟수’라는 글이 적혀 있었다. 포장된 도로 표면을 다지려 롤러가 반복해서 오간 횟수를 적어 넣는 것 같았다. 그 주변으로 대여섯 명의 인부들이 성실하게 작업을 하고 있었다. 그들이 작업복을 입고 있지 않았다면 은행 앞에서 ‘딴짓’을 하고 있는 세 명의 인부를 발견하지 못했을 것이다.

세 명의 인부는 안전모를 쓴 채 작업이 한창인 동료 무리를 벗어나 화단의 한 나무에 가 있었다. 얼핏 보니 거리에서 흔하게 봐 온 관엽수였다. 그들이 나무 옆에서 뭘 하고 있나 유심히 보았다. 한 사람이 휴대폰을 치켜들고 있었다. 처음에는 동료끼리 셀카를 찍나, 생각했다. 그때 곁에 있는 동료가 나무 쪽으로 손을 뻗어 잎사귀를 다정하게 만졌다. 휴대폰을 든 사람과, 그를 향해 몸을 기울이고 있는 사람, 나무의 잎사귀를 만지는 사람. 그들 사이로 휴대폰 액정이 보였다. 자유분방하면서도 이상한 평화가 느껴지는 그들은 식물찾기에 몰입하고 있었다. 어떻게 서로 눈이 맞아 자연스럽게 자리를 이탈해 그리로 갔는지 모를 일이었다.

작업을 마무리한 다른 동료들이 인도로 올라오고 있었다. 버스가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고 여전히 ‘딴짓’을 하고 있는 그들도 이내 시야에서 사라졌다. 버스에서 내리면서 그들이 식물찾기에 서툴러서 좀더 그 자리에 머물렀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얼마 뒤 버스를 타고 우암부두 앞을 지나가게 되었다. 나도 모르게 그들이 ‘딴짓’을 하던 자리로 시선이 갔다. 버스를 타고 수없이 오갔지만 한 번도 눈여겨본 적이 없는 공간이었다. 잘 꾸며진 화단도 아니고 벼르다 가지 못한 소막마을도 아닌데 자꾸 시선이 가는 것이었다.

비가 잠시 그친 오후 무렵, 우산을 들고 집을 나서 보기로 했다. 발길이 어디로 향할지 아무런 목표도 없이 그냥 걸어 보기로 한 것이다. 천천히 네댓 코스의 길을 걷다 보면 그 흔한 나무 앞에 다다를 수도 있겠다. 나는 그 자리에 이르더라도 나무를 탐해서 가지를 꺾어 오지는 않을 것이며 식물찾기를 해서 나무들의 계보를 알아오지도 않을 것이다. 그들의 흔적이 남아 있지 않은 몰입의 자리를 벗어나 자연스럽게 소막마을로 걸음을 옮길 수도 있겠다. 걷다가 비가 오면 마주치더라도 알아볼 수 없는 그들에게 종종 몰입의 시간이 찾아오기를 바라며 집으로 다시 돌아올 것이다.

2022-09-0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