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0만달러 이상의 고액 기부자에게 주는 ‘바이든 승리 파트너’ 뱃지. 트위터 캡쳐
바이든 기부자 상당수는 그가 부통령으로 참여했던 오마마 행정부 관료들에서부터 할리우드 제작자, 투자은행의 최고경영자 등으로 다양하다. 그러나 개인별로 얼마를 기부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윌밍턴 AFP 연합뉴스
28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 후보가 델라웨어주 윌밍턴에서 열린 유세 중 코로나19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윌밍턴 AFP 연합뉴스
윌밍턴 AFP 연합뉴스
고액 기부자가 많은 것은 바이든이 자신을 “중산층 조”라며 일하는 중산층의 이익을 대변하는 후보라는 이미지와는 어긋날 수 있다고 인터넷 매체 복스가 지적했다. 바이든 측은 기부액에 따라 6단계의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5만 달러 이상 기부자에겐 ‘보호자’를, 최고액 기부 등급인 250만 달러(28억 3000만달러) 이상 기부자에 대해서는 황금색 바탕에 ‘조 2020’이라고 새겨진 ‘바이든 승리 파트너’라는 배지를 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딸이자 고문인 이방카 트럼프가 11일(현지시간) 미국 애리조나주 파라다이스밸리에서 열린 유세 행사 후 지지자들에게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이방카는 모금뿐 아니라 트럼프가 취약한 교외에 사는 여성들의 지지를 타깃으로 삼는 선거운동의 공신이다. 로나 맥대니얼 공화당 전국위원회 의장은 “우리 기부자들은 이방카로부터 트럼프의 정책과 비전에 대해 직접 듣고서는 매우 환호한다”고 말했다.
한편 바이든은 지난 9월 1억 7730만 달러(2011억원)를, 트럼프는 이의 3분의 1을 조금 넘는 6310만 달러(716억원)를 지출했다고 연방선거관리위원회에 보고했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