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호 태풍 ‘힌남노’가 세력을 키워 한반도를 향해 북상 중인 가운데, 태풍 영향권에 든 일본의 아날로그식 재난 방송이 국내 네티즌들의 주목을 받았다.
지난 3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엔 ‘일본의 힌남노 예보 수준’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게재됐다.
해당 게시물은 일본 방송사 ANN의 힌남노 관련 뉴스 영상이다.
영상을 보면 진행자가 힌남노의 이동경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곧이어 화면이 바뀌면서 해상 위에 힌남노와 또다른 열대저기압 구름이 표시돼 있다.
그래픽 화면처럼 보이지만, 이것들은 실제 모형이었다. 진행자는 “이 열대저기압이 태풍의 진로에 영향을 미치면 그렇게 될 수 있다”면서 손으로 직접 구름을 옮겼다.
그는 이어 “아래쪽 열대저기압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위쪽 태풍이 끌어 당겨지는 형태가 됐다”며 “아래쪽 열대저기압이 없었다면 이 태풍은 서쪽으로 이동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태풍이 아래쪽 열대저기압으로 내려오면서 열대저기압의 세력이 약해지고, 태풍이 이를 잡아먹는 형태가 될 것”이라면서 힌남노 쪽으로 열대저기압 구름 모형을 손으로 옮겨 하나로 합쳤다.
ANN 보도화면 캡처
컴퓨터 그래픽을 사용하지 않고 모형을 이용한 아날로그식 재난 방송에 국내 네티즌들의 의견은 엇갈렸다.
일부 누리꾼들은 “역시 아날로그의 나라”, “왜 디지털을 이용하지 않는 거지?”, “일본은 아날로그 좋아한다더니 재난방송도 이렇게 하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반면 “직관적이라 보기 좋다”, “알기 쉽다” 등의 반응을 보이는 네티즌들도 있었다.
한편 기상청에 따르면, 현재 태풍은 대만 타이베이 동쪽 약 310㎞ 부근 해상에서 시속 11㎞의 속도로 느리게 북상하고 있다.
기상청은 오는 5일 아침 서귀포 남남서쪽 약 480㎞ 부근 해상을 거쳐 6일 아침에는 부산 남서쪽 약 70㎞ 부근 육상까지 진출할 것으로 전망했다.
제주도에 가장 근접하는 시기는 6일 새벽으로 중심기압 945 헥토파스칼(hPa), 최대풍속 초속 45m의 매우 강한 강도로 제주도 동부 앞바다를 통과할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 3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엔 ‘일본의 힌남노 예보 수준’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게재됐다.
해당 게시물은 일본 방송사 ANN의 힌남노 관련 뉴스 영상이다.
영상을 보면 진행자가 힌남노의 이동경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곧이어 화면이 바뀌면서 해상 위에 힌남노와 또다른 열대저기압 구름이 표시돼 있다.
그래픽 화면처럼 보이지만, 이것들은 실제 모형이었다. 진행자는 “이 열대저기압이 태풍의 진로에 영향을 미치면 그렇게 될 수 있다”면서 손으로 직접 구름을 옮겼다.
그는 이어 “아래쪽 열대저기압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위쪽 태풍이 끌어 당겨지는 형태가 됐다”며 “아래쪽 열대저기압이 없었다면 이 태풍은 서쪽으로 이동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태풍이 아래쪽 열대저기압으로 내려오면서 열대저기압의 세력이 약해지고, 태풍이 이를 잡아먹는 형태가 될 것”이라면서 힌남노 쪽으로 열대저기압 구름 모형을 손으로 옮겨 하나로 합쳤다.

ANN 보도화면 캡처
일부 누리꾼들은 “역시 아날로그의 나라”, “왜 디지털을 이용하지 않는 거지?”, “일본은 아날로그 좋아한다더니 재난방송도 이렇게 하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반면 “직관적이라 보기 좋다”, “알기 쉽다” 등의 반응을 보이는 네티즌들도 있었다.
한편 기상청에 따르면, 현재 태풍은 대만 타이베이 동쪽 약 310㎞ 부근 해상에서 시속 11㎞의 속도로 느리게 북상하고 있다.
기상청은 오는 5일 아침 서귀포 남남서쪽 약 480㎞ 부근 해상을 거쳐 6일 아침에는 부산 남서쪽 약 70㎞ 부근 육상까지 진출할 것으로 전망했다.
제주도에 가장 근접하는 시기는 6일 새벽으로 중심기압 945 헥토파스칼(hPa), 최대풍속 초속 45m의 매우 강한 강도로 제주도 동부 앞바다를 통과할 것으로 예측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