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례 브리핑 이어 추가 자료도… 아베 방미 앞서 논란 확산 차단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정무차관의 한·중·일 과거사 발언 논란 <서울신문 3월 2일자 5면>에 대해 미 정부가 불끄기에 나섰다. 4월 말쯤 예정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방미에 앞서 논란이 커지는 것을 막으려는 취지로 보인다.미 국무부는 2일(현지시간) 셔먼 차관의 발언에 대한 서울신문의 입장 요청에 논평을 보내와 “미국의 정책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 셔먼 차관의 발언이 정책의 어떤 변화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일부에서 셔먼 차관의 발언을 지역의 특정 지도자를 겨냥한 것으로 해석해 솔직히 놀랐다”며 셔먼 차관의 발언이 어떤 개인이나 국가를 겨냥한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논평은 또 “우리는 치유와 화해를 증진하는 방법으로 과거사 문제들을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며 “우리가 수차례 언급했듯 일본의 무라야마 전 총리와 고노 전 관방장관의 사과는 일본이 주변국과의 관계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장을 마련했다”고 지적했다. 이는 2013년 12월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이후 과거사 갈등과 관련해 일본의 사과와 반성이 필요하다는 미 정부의 공식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국무부는 이날 대변인 정례브리핑에서 셔먼 차관의 언급에 대한 질문에 간단히 답한 뒤 이례적으로 추가 자료까지 배포하며 적극 해명에 나섰다.
자료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거론하며 “2차 세계대전 당시 성(性)을 목적으로 한 일본군의 여성 인신매매 행위는 끔찍하고 극악한 인권 위반”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해 4월 방한 때) 과거의 가슴 아픈 고통을 해결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한국과 일본 국민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고 언급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국무부가 오바마 대통령의 발언을 언급한 것은 미 정부의 입장이 바뀌지 않았음을 강조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워싱턴의 한 외교소식통은 “아베 총리 방미에 앞서 미국에 과거사 문제를 그냥 넘어갈 수 없다는 경각심을 일깨웠다는 점에서 아베 총리의 미 의회 합동연설 가능성 및 내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5-03-0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