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8에서 러시아 축출한 건 실수”
“G7에 중국 참여 반대하지 않아”
이란 향해 “이기고 있지 않아…대화 나서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에서 열리고 있는 G7 정상회의에서 취재진과 만나 이야기하고 있다. 2025.6.16 캐내내스키스 로이터 연합뉴스
이스라엘과 이란의 전면전과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협상이 본격화되는 국면에서 열린 주요7개국(G7) 정상회의가 첫날부터 파열음을 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과거 G7에서 러시아가 축출된 것을 비판하는 등 다른 국가들과 상반된 입장을 내세우고 있는 탓이다.
CNN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에서 열리고 있는 G7 회의에서 취재진과 만나 “러시아가 회의에 포함됐다면 전쟁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바마(전 미국 대통령)와 트뤼도(전 캐나다 총리)는 러시아를 끌어들이고 싶지 않았다”면서 “푸틴(러시아 대통령)을 테이블에 앉히지 않으면 문제가 더 복잡해진다”고 주장했다.
G7은 보리스 옐친 전 러시아 대통령 시기였던 1997년부터 러시아를 포함해 G8으로 운영됐지만, 2014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영토였던 크림반도를 강제 합병하자 G7은 러시아를 축출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주장은 사실관계가 잘못됐다. G7이 러시아를 축출할 당시 캐나다 총리는 스티브 하퍼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러시아를 G7에 합류시켜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너무 많은 물이 댐을 넘었다”면서 “지금 당장 그렇게 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중국이 왜 G7에 포함되지 않느냐는 질문에 “나쁜 아이디어는 아니다”라며 “반대하지 않는다”라고 답했다.
다만 이같은 발언이 중국의 G7 정식 가입에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미인지, G7 회의에 중국을 옵서버로 초청하는 데 반대하지 않는다는 것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한편 이스라엘과 이란의 무력 충돌과 관련해서는 이란을 향해 “이 전쟁에서 이기고 있지 않다고 말하고 싶다”면서 “너무 늦기 전에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양국의 분쟁에 개입할지, 미국이 이스라엘에 정보를 제공할지 등에 대해서는 “그런 이야기를 하고 싶지 않다”며 답변을 피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