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정정불안 일지

태국 정정불안 일지

입력 2013-12-09 00:00
수정 2013-12-09 13: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태국은 9일 대규모 반정부 시위로 인해 결국 의회를 해산하고 조기 총선을 실시하기로 했다.

조기 총선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으나 의회를 해산한 날로부터 60일 이내 실시돼야 한다. 그러나 반정부 시위대 및 야권은 이미 조기 총선안을 거부한 바 있어 조기 총선 실시 여부도 아직 확실치 않은 실정이다.

태국의 정치 위기는 뿌리가 깊을 뿐 아니라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탁신 친나왓 전 총리가 집권한 뒤 친탁신 진영과 반탁신 진영으로 나뉘어져 분열과 대립이 심화됐다. 지난 2006년에는 탁신 전 총리를 몰아내기 위한 군부 쿠데타가 발생했다.

탁신 전 총리가 쿠데타로 실각하고 보수정당인 민주당이 집권하자 친탁신계는 2010년 반정부 시위를 벌여 아피싯 웨차치와 전 총리로부터 조기총선을 끌어냈다. 이 시위로 90여명이 숨지고 1천700여명이 다쳤다.

총선에서 친 탁신계가 다시 승리하자 민주당 등 보수 진영은 이번에 다시 대규모 시위를 벌여 의회 해산에 이르게 됐다.

다음은 태국 정정불안 일지다.

▲2001.6.6 = 탁신 창설 정당 타이락타이당 총선 압승.

▲2005.2.6 = TRT 재집권. 총선 압승.

▲2006.1월 = 탁신 전 총리, 친기업 주식 테마섹에 매각.

▲2006.2.24 = 탁신 일가 탈세 의혹으로 반정부 시위. 탁신은 의회 해산 뒤 조기총선 발표.

▲2006.4.2 = 조기총선 실시. 타이락타이당 압승.

▲2006.9.19 = 1991년 쿠데타 이후 15년 만에 군부 쿠데타 발생. 탁신 실각 후 영국으로 망명.

▲2007.5.30 = 타이락타이당 해체판결.

▲2007.12.23 = 탁신계 신당 국민의 힘(PPP), 총선 승리.

▲2008.2.28 = 탁신 귀국.

▲2008.5.25 = 반탁신단체인 국민민주주의연대(PAD, 일명 옐로셔츠) 반정부 시위. 정부 해산 요구.

▲2008.8.11 = 탁신 부부, 해외 도피.

▲2008.8.26 = 옐로셔츠 시위대 정부청사 난입.

▲2008.10.22 = 대법원, 탁신에게 권력남용, 부정부패로 징역 2년 선고.

▲2008.11.25 = 옐로셔츠 시위대, 수완나품 국제공항 1주일동안 점거.

▲2008.12.2 = 헌재, ‘국민의 힘’당 등 집권 3당 선거부정 등 혐의로 해체 명령.

▲2008.12.15 = 의회, 민주당 아피싯 총재를 27대 총리로 선출.

▲2009.3.26 = 친탁신단체 독재저항민주연합전선(UDD, 일명 레드셔츠) 정부청사 봉쇄. 의회해산 요구.

▲2009.4.11 = 친탁신단체 시위로 아세안+3 정상회의 무산. 비상사태 선포.

▲2010.2.26 = 대법원, 태국 내 동결된 탁신 재산 766억바트 중 460억바트 몰수 판결.

▲2010.3.14 = UDD 회원, 방콕 랏차담넌 거리 집결후 의회해산 요구하며 반정부 시위 돌입.

▲2010.5.19 = 정부, 시위대 강제해산. 92명 사망. 1천700여명 부상.

▲2011.7.3 = 조기총선 실시. 푸어 타이당 압승.

▲2013.11.1 = 하원, 포괄적 정치사면법안 승인.

▲2013.11.24 = 잉락총리 퇴진과 탁신체제 근절 요구 반정부 시위에 10만여명 참가.

▲2013.11.25 = 반정부 시위대, 정부청사 점거 개시.

▲2013.12.1 = 반정부 시위에 10여만 참가.

▲2013.12.9 = 의회 해산 및 조기 총선 실시 결정. 반정부 시위에 수만명 참가.

연합뉴스

허훈 서울시의원, 오세훈 시장과 목동 재건축·목동운동장 통합개발 현장방문…‘신속 추진’ 주민 의견 전달

서울시의회 허훈 의원(국민의힘, 양천2)은 지난 30일 이기재 양천구청장과 함께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 목동6단지와 목동운동장·유수지 일대를 방문해 현장을 점검하고, 주민간담회를 통해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이번 방문은 목동신시가지 단지 재건축과 목동운동장·유수지 일대 통합개발의 신속 추진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이날 방문한 목동6단지는 전체 14개의 목동신시가지 단지 중 가장 빠르게 재건축이 추진되고 있는 단지로,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을 적용해 사업 절차가 대폭 단축됐다. 최근에는 서울시가 24일 발표한 ‘주택공급 촉진방안’의 첫 공정관리 시범사례로 지정돼, 정비사업 전 단계를 기존 18.5년에서 13년으로 단축하고, 단계별 공정 집중 관리를 통해 11년 이내 착공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동6단지의 선도적인 추진을 필두로, 연내 전 단지 결정고시와 조기착공 시범사업 확대를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올해 안에 14개 전체 단지 정비계획을 결정 고시하고, 협의체를 구성해 조기 착공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목동 6·8·12·13·14단지에 대한 정비계획 고시를 완료했고, 목동 4·5·7·9·10단지는 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가 끝났다. 목
thumbnail - 허훈 서울시의원, 오세훈 시장과 목동 재건축·목동운동장 통합개발 현장방문…‘신속 추진’ 주민 의견 전달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