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BC 동영상 캡처
나렌드라 모디 총리 정부의 시민권 개정 법안(CAA) 강행 움직임에 맞서 격렬한 시위를 벌이는 와중에 일어난 일이다. 지난 15일 수도 델리의 자미아 밀리아 대학에서 벌어진 시위 도중 샤힌 압둘라란 남성이 진압복에 헬멧까지 갖춘 경찰관들에 의해 끌려 나가자 젊은 여성들이 인간방패를 만들어 보호했다. 라디다 파르자나(22)는 다음날 영국 BBC 인터뷰를 통해 “우리는 친구를 보호하고 싶었을 뿐”이라고 말했다. 대치는 일분도 안돼 끝났지만 경찰의 잔인한 시위 진압 방식을 폭로하기에 그만인 동영상이다.
BBC에 따르면 다음날 압둘라의 얼굴은 베인 상채기로 가득했다. 그런데도 그는 시위를 계속하겠다는 뜻을 굽히지 않았다. 압둘라는 “우리(와 동영상)에 대한 것만 아니라 이 법이 실행되면 어찌 될 것인지” 봐야 한다며 “나와 이 소녀들에게만이 아니라 이 나라의 모든 무슬림에게 벌어질 일”이라고 개탄했다.
라디다 역시 주민들에게 “제발 깨달아 거리로 나와 함께 어울려 이 문제에 맞서 싸우자. 이건 우리의 의무”라면서 “우리가 얘기하지 않으면 누가 얘기하겠느냐”고 되물었다.
인도 야당과 시민들은 이 법안이 통과되면 반무슬림 정책이 강화돼 대규모의 이민을 강요하게 될 것이라고 반대하고 있다. 이 법안은 힌두와 시크, 불교와 자인, 파르시, 기독교 등 여섯 종교 신도가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아프가니스탄에서 박해를 받다가 탈출한 전력이 입증되면 시민권을 발급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무슬림은 제외된다. 다만 현행 11년이 아니라 6년
방글라데시와 인접한 북동부 아삼주에는 200만명이 넘는 무슬림 이민자가 시민권을 얻지 못한 채 거주하고 있는데 이들을 국경 밖으로 내쫓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15일 델리의 시위 인파는 이전보다 많이 줄어 경찰과 시위대원 합쳐 50명 정도만 병원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다시 적어도 세 명이 경찰이 발포한 총탄에 다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최근 유엔 인권사무실은 의회 승인을 이미 거친 이 법안이 본질적으로 차별적이라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하지만 힌두 민족주의를 표방하는 BJP 정부는 종교적 편견 없이 종교적 박해를 피해 달아난 이들을 수용하는 데 목적이 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들 세 나라의 소수 종교 출신이 아니란 이유로 새 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무슬림들은 인도가 보호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라디다와 친구들은 이 법안의 궁극적인 목표는 너무도 분명하다며 “CAA가 무슬림을 몰아내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것을 모두가 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이 법안이 인도의 세속적인 전통들과 충돌할 것을 우려하는 비무슬림 학생들까지 시위에 동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경찰은 대학 캠퍼스 안에까지 들어가 출입문을 부수고 도서관에 최루 가스를 살포하는 등 엄격한 진압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