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 모를 ‘제로 코로나’… 中 상하이 이어 시안 봉쇄

끝 모를 ‘제로 코로나’… 中 상하이 이어 시안 봉쇄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2-10-22 10:45
수정 2022-10-22 11: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당대회)에 참석하고 있다. 2022.10.21 신화 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당대회)에 참석하고 있다. 2022.10.21 신화 연합뉴스
중국 정저우, 상하이에 이어 인구 1300만명의 대도시 시안이 부분 봉쇄에 들어갔다. 최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당대회)에서 ‘제로 코로나’ 정책을 재차 옹호한 가운데 방역을 위한 중국의 도시 봉쇄 정책이 계속되고 있다.

시안시 당국은 지난 20일 밤 공식 위챗 계정을 통해 관내 코로나19 고위험·중위험 지역이 규정에 따라 관리될 것이라고 발표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1일 보도했다.

시 당국은 20일 현재 고위험 지역이 57곳, 중위험 지역이 74곳이라고 고지하면서 고위험 지역 주민은 감염자가 일주일간 나오지 않을 때까지 집에만 머물러야 한다고 알렸다.

중위험 지역 주민의 경우 신규 감염자가 일주일간 보고되지 않을 때까지 주거단지 내에서만 이동이 가능하다.

중국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당대회) 폐막식을 취재하는 기자들이 베이징의 미디어 호텔 밖에서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 있다. 2022.10.21 AP 연합뉴스
중국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당대회) 폐막식을 취재하는 기자들이 베이징의 미디어 호텔 밖에서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 있다. 2022.10.21 AP 연합뉴스
시안에서는 19일 34명, 20일 37명의 신규 감염자가 각각 보고됐다. 블룸버그는 “시안 전체가 봉쇄될 것이라는 루머가 20일 오후부터 퍼져나가면서 주민들이 황급히 ‘패닉 바잉’에 나선 모습이 소셜미디어(SNS)에 올라왔다”고 전했다.

도시 봉쇄를 이어가고 있는 상하이에서는 점점 더 많은 아파트와 주거단지가 봉쇄 대상에 포함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상하이시는 지난 1∼7일 일주일간 감염자가 70명 나오자 9개 구에서 대규모 전수 검사를 진행했다.

인구 1000만명의 허난성 정저우시도 17일부터 일부 지역을 봉쇄하고 비필수 사업장을 폐쇄한 바 있다.

이 같은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이 바뀔 가능성은 당분간 적어 보인다. 시 주석은 지난 16일 당대회 개막 연설에서 ‘동태청령부동요’(動態淸零不動搖, 제로 코로나 정책은 흔들리지 않았다)라고 표현하면서 ‘인민의 생명과 건강을 최대한 보호했고 경제사회 발전의 성과를 냈다’는 말로 제로 코로나 정책 고수 의지를 분명히 했다.

베이징 시민들이 코로나19 방역 마스크를 쓴 채 자전거를 타고 출근하고 있다. 2022.10.20 AP 연합뉴스
베이징 시민들이 코로나19 방역 마스크를 쓴 채 자전거를 타고 출근하고 있다. 2022.10.20 AP 연합뉴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9일 중국인은 문밖을 나서면 PCR 검사를 받아야 하고, 음성 증명서가 없으면 공공장소 출입이 금지되며, 스타벅스 매장에서 커피를 마실 때도 QR코드 스캔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이런 상황이 중국인의 소비 침체로 이어져 중국 경제 성장의 걸림돌이 됐다고 덧붙였다.

중국 당국은 지난 3월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때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5.5% 안팎’으로 공식 발표했으나, 이후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도시 부분·전면 봉쇄로 인해 올해 성장률은 3%대로 내려앉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