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미사일. AP 자료사진
25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기시다 후미오 내각은 2023년도부터 5년간의 ‘중기방위력정비계획’에서 방위비를 40조엔 이상 끌어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중기방위력정비계획은 5년마다 개정되는데 새로운 목표치는 현행(2019~2023년도) 중기방위력정비계획에서 목표로 삼았던 방위비 27조 4700억엔(약 273조원)의 1.5배 수준이다. 일본 정부는 새로운 중기방위력정비계획을 올해 말 확정할 예정이다.
이미 일본 방위성은 지난달 31일 내년 방위비 예산 요구액을 올해보다 대폭 증액해 재무성에 요구하는 등 방위비 증액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방위성이 제출한 내년도 방위비 예산안은 올해보다 3.6% 늘어난 5조 5947억엔(약 55조원)이다. 다만 이 금액은 재무성 요구 단계에서 구체적 금액을 명시하지 않고 항목만 나타내는 ‘사항요구’를 제외한 규모다. 사항요구까지 감안한 일본의 내년도 방위비는 6조엔 중반대로 전망되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본 정부는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지난달 초 대만 방문 이후 중국이 군사훈련을 강화한 것을 방위비 증액의 근거로 내세우고 있다. 일본의 이러한 적극적 방위비 증액으로 주변국의 군사적 긴장감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일본의 방위력 강화에는 방위비 증액만 있는 게 아니다. 일본 정부는 올해 말까지 개정할 국가안전보장전략에 방위 장비 수출을 국가 주도로 추진한다는 방침을 명기할 계획이다.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자국의 방위 장비 생산 기업들이 자위대 이외의 판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돕고 이 기업들의 재정 지원에 적극 개입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일본 정부가 정부 주도로 방위산업 확대에 나서는 데는 전쟁 등 긴급 상황이 벌어졌을 때 전투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하는 게 필요하다고 봤기 때문이다. 현재 일본 방산기업은 방위 장비·물품 수출이나 기술 공여를 정부의 허가를 받아 할 수 있고 수출 교섭도 기업만이 나서 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민관 합동으로 교섭을 하는 타국에 비해 수출력이 떨어졌다. 또 자위대용 항공기나 차량 등을 생산하는 기업은 납품 상대가 방위성과 자위대로 한정되면서 방위산업 축소를 야기했다는 지적도 있다. 2003년 이후 현재까지 100개 넘는 일본 기업이 방위 분야에서 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