힙합에 버무린 한(恨)의 굿판...영화 ‘대무가’

힙합에 버무린 한(恨)의 굿판...영화 ‘대무가’

김정화 기자
입력 2022-09-29 17:30
수정 2022-09-29 17: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영화 ‘대무가’ 스틸. 쿠키픽쳐스 제공
영화 ‘대무가’ 스틸. 쿠키픽쳐스 제공
흔히 무당이라고 하면 새하얗게 칠한 얼굴에 울긋불긋한 한복과 갓을 떠올린다. 엄숙한 분위기와 위압감을 주는 굿판은 이 사회에서 동떨어진 그들만의 세상 같다.

한국에서 친숙하면서도 낯선 무속인, 그리고 굿을 현대적 감성으로 재해석한 영화 ‘대무가’ 속 박수들은 어딘가 다르다. 주인공은 청년 백수 생활에 지쳐 무당학원의 ‘10주 코스’를 찾은 20대 무당 신남(류경수), 호스트바 에이스 출신으로 역술계를 평정하려 하는 30대 무당 청담도령(양현민), 한때 ‘마성의 무당’으로 이름깨나 날렸으나 감옥 생활을 하며 사라져버린 ‘신(神)발’ 대신 ‘술발’로 버티는 40대 무당 마성준(박성웅).

20대부터 40대까지 ‘젊은 무속인’을 통해 한국 사회 현주소를 돌아보려 했다는 게 감독의 의도다. 이한종 감독은 “굿은 우리 사회의 하위문화다. 초현실적 소재를 판타지나 SF 장르로 풀기보다 우리 생활에 밀접한 청년 실업, 부동산 문제 등에 접목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영화 ‘대무가’ 스틸. 쿠키픽쳐스 제공
영화 ‘대무가’ 스틸. 쿠키픽쳐스 제공
자칫 억지스러울 수 있는 소재를 ‘힙’하게 풀어가려는 시도는 곳곳에서 읽힌다. 신이 내려야만 할 수 있는 무속인의 일을 ‘무당학원’에서 타인의 가르침으로 배울 수 있다는 콘셉트부터 독특하다. 취업 낙방을 견디다 못한 신남이 ‘블루오션’이라는 홍보 문구에 혹해 학원에 거금 1000만원을 투자하지만, 거기서마저 청담도령에게 밀리는 스토리는 씁쓸한 취준생의 자화상을 보는 듯하다.

영화는 동명의 단편을 확장해 장편으로 만든 것인데, 원작 스토리에 재개발 같은 사회문제를 더 녹였다. 재개발 지역으로 지정된 ‘7구역’의 두목 손익수(정경호)가 ‘무당즈’와 갈등을 벌이며 적절한 긴장감을 준다. 서로 다른 사연을 가진 셋은 손익수와 얽혀 굿 한판을 벌이게 되는데, 세 박수가 함께 추는 살풀이는 일반적인 굿이 아닌 힙합 공연 같은 느낌이다.

북과 피리로 만드는 전통 장단 위에 힙합 비트가 어우러져 세련되면서도 구성진 가락을 선보인다. 마을 사람들은 굿판을 둘러싸고 환호한다. “굿은 한(恨)을 흥(興)으로 풀어내는 것”이라는 대사처럼 영화 속 굿은 하나의 공연이자 축제다. 박수들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사건이 스릴을 주고, 여러 작품에서 활약한 명품 배우들의 연기는 그야말로 신들린 듯하다. 하지만 종잡을 수 없는 흐름에 권선징악이라는 주제는 다소 허무하기도 하다. 10월 12일 개봉. 108분, 15세 관람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