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미술 경매 거래액
최근 5년간 최저 수준 572억원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 제공
이우환 ‘Dialogue’(2019). 지난 5월 경매에서 16억원에 거래됐다.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 제공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 제공
올해 상반기 미술품 경매 시장 거래 규모가 최근 5년간 최저 수준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단법인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는 국내 9개 경매사의 상반기 경매 결과를 분석한 ‘2025 상반기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 결산’ 자료를 27일 내놨다.
자료에 따르면, 국내 경매사의 총거래액은 57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 줄었다. 이는 최근 5년간 최저치로, 미술시장 호황기였던 2022년의 약 1446억원과 비교하면 40% 수준이다. 낙찰률도 48.8%로 지난 5년간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출품작 수 역시 1만784점으로 최근 5년간 가장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작가별 낙찰총액을 보면 이우환의 작품이 39억원 상당 거래되며 낙찰총액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미술 시장이 활황이었던 2022년을 비교해보면, 당시에도 이우환 화백은 낙찰총액 1위를 차지했는데, 거래 규모가 200억원에 이르렀다. 올해는 2022년과 비교해 5분의1 수준에 불과하다. 올해 상반기 최고가 낙찰작품은 지난 5월 27일 서울옥션 경매에서 16억원에 거래된 이우환의 2019년 작 ‘다이얼로그’였다.
경매사별로는 K옥션 거래액이 253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옥션이 210억원을 기록했다.
김영석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 이사장은 “최근 5년간을 비교할 때 미술시장 규모가 크게 위축된 것은 지난해 연말 발생한 정치적 이슈와 세계 경제 위기 등 국내외 정세의 환경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