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용변을 볼 때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습관이 기기를 세균의 온상으로 만들 수 있다는 전문가의 경고가 나왔다.
영국 매체 데일리메일의 지난 22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영국 레스터대학교 임상 미생물학 교수 프림로즈 프리스톤은 화장실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면 변기의 세균이 휴대전화에 쉽게 옮겨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여기에는 심한 설사와 복통을 유발할 수 있는 대장균과 혈액·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녹농균도 포함된다.
용변 후 변기 물을 내리면 분변 물질과 세균이 섞인 미세한 액체 방울이 강하게 분사된다. 미국 콜로라도 볼더대의 이전 연구에 따르면 변기 물을 내릴 때 발생하는 이 ‘변기 플룸’은 8초 만에 최대 1.5m까지 확산한다. 변기에서 1.5m 이내에 있는 바닥, 벽, 근처에 놓여 있는 사물 등이 오염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변기 뚜껑을 닫아도 미세한 액체 방울이 분출된다고 한다.
특히 볼일을 볼 때 휴대전화를 들고 있다가 변기 물을 내리기 전 바닥에 휴대전화를 내려놓는 것이 가장 나쁜 행동이라고 프리스톤 교수는 지적했다. 그는 “변기 주변 바닥은 정기적으로 소독하지 않으면 장내 세균이 포함된 분변 물질이 남아 몇 시간, 며칠 동안 생존할 수 있다”고 했다.
프리스톤 교수는 휴대전화를 화장실 밖에 두라고 강조했다. 그는 “변기 주변은 상당히 오염돼 있다”며 “비누와 수도꼭지, 변기·세면대 표면, 문손잡이 등 화장실 곳곳에는 배설물 세균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비누로 손을 씻은 후에도 휴대전화를 다시 만지면 세균이 손으로 다시 옮겨갈 수 있다. 프리스톤 교수는 휴대전화를 정기적으로 소독용 물티슈로 닦아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만약 볼일을 볼 때도 중요한 전화를 놓치고 싶지 않다면 휴대전화를 주머니에 넣어 두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