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서울시향 벤스케 지휘자 공연 도중 “우크라이나 비극” 운 띄우며 국가 연주

[단독] 서울시향 벤스케 지휘자 공연 도중 “우크라이나 비극” 운 띄우며 국가 연주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2-04-01 11:41
수정 2022-04-01 11: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수수께끼 변주곡’ 공연 앞서 발언 자청
“사람들이 죽고 집 잃고 쫓겨나” 강조
러시아 침략받은 핀란드 출신 동병상련

이미지 확대
오스모 벤스케 서울시립교향악단 음악감독. 서울시립교향악단 제공
오스모 벤스케 서울시립교향악단 음악감독.
서울시립교향악단 제공
서울시립교향악단을 이끄는 오스모 벤스케(69) 음악감독(상임지휘자)이 정기 연주회 도중 우크라이나 전쟁의 비극을 강조하며 예정에 없던 우크라이나 국가를 연주해 화제가 되고 있다.

벤스케 감독은 지난달 31일 오후 8시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진행된 ‘오스모 벤스케의 수수께끼 변주곡’ 공연에 앞서 관객들에게 영어로 “신사·숙녀 여러분, 음악 애호가 여러분, 콘서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라고 이례적으로 발언을 청했다. 그는 “지난 몇 주 동안, 우리는 동유럽에서 벌어진 전반적인 상황에 대한 소식을 들었다”면서 “사람들이 죽고 집을 잃게 되고 다른 나라로 쫓겨나게 된 슬프고 끔찍한 소식”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는 우리 모두를 포함한 전 세계에 큰 재앙이기 때문에 저희는 우크라이나 국가를 연주하는 것으로 이 콘서트를 시작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어 서울시향 단원들은 서서 우크라이나 국가를 연주했다.

이미지 확대
3월 31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진행된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오스모 벤스케의 수수께끼 변주곡’ 공연. 서울시립교향악단 제공(강태욱 사진)
3월 31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진행된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오스모 벤스케의 수수께끼 변주곡’ 공연.
서울시립교향악단 제공(강태욱 사진)
벤스케 감독은 1일 오후 8시에 시작하는 같은 공연도 우크라이나 국가 연주로 시작할 예정이다. 2020년 취임한 벤스케 감독은 미국 미네소타 오케스트라 음악 감독을 역임했고 우크라이나와 직접적 인연은 없지만, 러시아의 지배를 받아온 핀란드 출신이다. 평소에도 러시아의 침략을 받은 우크라이나 상황에 동병상련을 느껴왔다고 서울시향 측은 전했다.

앞서 지난달 1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내한 공연을 한 폴란드 출신 피아니스트 크리스티안 지메르만도 마지막 앙코르곡 연주를 앞두고 돌연히 “작곡가 시마노프스키는 1882년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났다”고 돌출 발언을 한 바 있다. 카롤 시마노프스키(1882~1937)는 지메르만의 고국인 폴란드 작곡가이지만, 출생지는 오늘날 우크라이나인 체르카시주라는 걸 상기시켜 러시아의 침략을 받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지 의사를 표명한 것이다.

이번 서울시향 정기연주회는 시벨리우스 교향시 ‘전설’로 시작해 아데스의 바이올린 협주곡 ‘동심원의 길’,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2번, 엘가의 ‘수수께기 변주곡’으로 구성됐다. 특히 서울시향 ‘올해의 음악가’로 선정된 이탈리아계 미국 바이올리니스트 아우구스틴 하델리히의 올해 첫 무대이기도 하다. 하델리히는 이번 공연에서 ‘동심원의 길’과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2번을 서울시향과 함께 연주해 박수 갈채를 받았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