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나는 붓다를 보았다
이재용 지음/불광출판사
240쪽/1만 8000원

배우 이재용
어떤 형태의 집합이든 이런 사람은 꼭 있다. 차가울 것 같은데 ‘뜨시고’, 경박스러울 것 같은데 사려 깊은 사람 말이다. 배우 이재용(62)도 그런 인물이 아닐까 싶다. 그는 여태껏 봐 온 영화 대부분에서 악역이었다. 영화 ‘친구’(2001)의 깡패 두목 ‘차상곤’이 처음 본 그의 모습이 아니었을까 싶은데, 이후의 영화들에서도 그는 ‘실제 성격 더러운 사람일 것이라는 믿음에 온전히 부합하는’ 연기를 선사했다.
하지만 그는 최근 펴낸 책 ‘그날 나는 붓다를 보았다’에서 자신을 둘러싼 견고한 이미지와 예단을 산산이 부숴 버린다. 모처럼 살아 있는 책을 만난 느낌이랄까, 젠 체하지 않으면서도 고상하다. 우회하는 법도 없다. 불문곡직 자신의 생각을 투척한다. 그건 아마 치열한 경험에서 우러난 자신감일 것이다.

이재용은 배우이면서 불교 수행자다. 법명은 적정(寂靜). ‘고요할 적’에 ‘고요할 정’이다. “늘 삼매(三昧)를 곁에 두고 살라는 스승의 가르침”이 담긴 이름이다. 책은 그가 일상 수행에서 얻은 깨달음의 조각들을 모은 수필집이다. 단어 하나하나의 선택에서 그의 ‘성질머리’가 오롯이 느껴진다.
책은 모두 3장으로 구성됐다. 1장 ‘나는 잘 살고 있는 걸까?’에서는 인생의 행복, 2장 ‘부처님 감사합니다’에서는 불교와의 인연과 수행, 3장 ‘죽을 때까지 배우로 살고 싶다’에서는 40년간 ‘배우 이재용’과 함께한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로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나뉘어는 있으되 따지고 보면 모두 사람 이야기다. 사람에 치여 넘어지지만, 일어설 때 잡는 것도 사람 손이다.
그는 출간을 기념해 지난 9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삶은 부모 형제가, 친구 동료가, 선배 스승이, 자식과 아내가 혹은 낯설거나 친숙하거나 했던 모든 이들이 수놓아 준 아름다운 인연의 천 위에서 웃고 울고 희로애락의 긴 서사를 펼치다 가는 일”이라며 “그 여정을 함께해 준, 혹은 해 주고 있는 모든 이들이 날 일깨우는 스승들임을 이제야 깨닫는다”고 했다. 무척 도저하게 여겨질 수도 있는 책 제목은 이런 의미를 담은 표현이다.
그는 툭 내던지듯 자신의 삶을 말했지만 사실 말처럼 쉽지 않다는 거, 많은 이들이 안다. 그는 살면서, 아주 힘들게 살아 내면서 이치를 깨달아 가고 있는 거다. 그렇다면 다른 우수마발들이 못 할 이유가 뭔가. 책이 주는 가장 큰 선물은 여기에 있지 싶다. 너도, 나도, ‘이재용만큼’ 할 수 있을 거란 확신 말이다.
이 책을 한마디로 표현할 멋있는 문장을 고민하다 소설가 김별아의 추천사에 눈이 갔다. 그는 “배우가 아닌 인간 이재용의 번뇌와 방황이 분칠 없이 담겨 있”다고 썼다. 딱 그대로다.
2025-06-13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