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 최고 훈장 ‘코망되르’ 잘하라는 뜻… 내년 세계 데뷔 40주년 페스티벌 준비”

“佛 최고 훈장 ‘코망되르’ 잘하라는 뜻… 내년 세계 데뷔 40주년 페스티벌 준비”

최여경 기자
최여경 기자
입력 2025-06-17 00:54
수정 2025-06-17 00: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프라노 조수미 기자 회견

‘더 매직, 조수미 & 위너스’ 공연
19~24일 전주·성남·서울·춘천서
이미지 확대
소프라노 조수미(가운데)가 16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더 매직, 조수미 & 위너스’ 기자간담회에서 소프라노 쥘리에트 타키노(왼쪽부터), 바리톤 지하오 리, 테너 조르주 비르반, 테너 이기업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소프라노 조수미(가운데)가 16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더 매직, 조수미 & 위너스’ 기자간담회에서 소프라노 쥘리에트 타키노(왼쪽부터), 바리톤 지하오 리, 테너 조르주 비르반, 테너 이기업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외로움과 고독함이 어깨를 짓누를 새도 없이 이메일을 받고 얘기하고 프로젝트를 해결해 나가는 일이 너무나 재미있어요. 특히 도움이 되는 일을 할 때 기쁨을 느낍니다.”

소프라노 조수미(63)는 ‘왕성한 도전’에 대한 질문을 받자 “아마도 싱글이라서 그런 걸까. 일밖에 할 게 없다”며 크게 웃더니 “원래도 에너지가 많지만 일하는 게 재미있다. 재미있는 일을 하면 더욱 힘이 난다”고 말했다.

그가 눈앞에 둔 ‘일’은 지난해 7월 자신의 이름을 걸고 처음 개최한 국제 성악콩쿠르 수상자들과 함께하는 ‘더 매직, 조수미 & 위너스’ 무대다. 공연에 앞서 16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기자들과 만난 조수미는 “콩쿠르에서 상을 받으면 그때만 반짝 주목하지 이후엔 관심을 주지 않더라”며 “조수미 콩쿠르에서 수상하면 무대에 오를 기회가 많다는 것을 알려 주고 관객들에게는 ‘스타 탄생’을 보여 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공연은 오는 19일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을 시작으로 21일 성남아트센터, 22일 서울 롯데콘서트홀, 24일 춘천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다. 중후한 음색과 감성적인 표현력으로 만장일치 우승한 중국 출신 지하오 리(바리톤), 유럽에서 활약하는 리릭테너 조르주 비르반(2위)과 안정적인 발성의 한국 출신 테너 이기업(3위), 고음이 돋보이는 프랑스 출신 소프라노 쥘리에트 타키노(특별상)가 함께한다.

조수미는 이날 간담회에 프랑스 정부로부터 수훈한 문화예술공로훈장을 목에 걸고 등장했다. 지난달 26일 프랑스 정부는 그에게 최고 등급인 ‘코망되르’를 수여했다. 이 훈장에 대해 조수미는 “프랑스에서 희귀한 아리아를 모아 음반을 냈고 웬만한 오페라 무대에 다 서면서 활발하게 활동했는데 막상 받고 나니 믿을 수 없었다. 앞으로도 잘하라는 의미에서 주는 거라고 생각한다”며 구상 중인 계획을 줄줄이 털어놨다.



세계 데뷔 40년이 되는 내년에는 자신의 이름을 건 페스티벌을 준비하고 있다. “클래식뿐 아니라 한국의 창, 뮤지컬 등 목소리 영역의 음악을 들려줄 수 있는 자리로 기획하고 있다”는 그는 “3~5일 동안 가족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파크 콘서트 형식이 될 듯하다”고 설명했다. 봄쯤에 기념음반도 낼 예정이다. 조수미는 “클래식 아티스트이지만 내가 가진 목소리로 어떤 장르든 노래하고 싶은 욕심이 있다”면서 “새 앨범은 ‘놀랍다’고 느끼도록 새로운 시도를 해 볼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2025-06-1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