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예상 타이밍은 정기국회 직전인 8월2차는 예산안 처리후…연말연초 전면개각 맞물릴수도
박근혜 대통령이 후임 국무총리 후보자로 황교안 법무장관을 지명하면서 정치인 장관들의 여의도 복귀도 관심을 받고 있다.비록 이완구 전 총리가 ‘성완종 리스트’에 연루돼 낙마하면서 이뤄진 총리 교체지만 이를 계기로 올해 집권 반환점을 도는 현 정부가 인적 개편을 통해 분위기 쇄신에 나설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의원직을 겸한 장관들이 국회로 돌아온다는 것은 곧 개각을 의미하기 때문에 당·청 간에 시점을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국회의원을 겸한 장관은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유일호 국토교통부 장관,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까지 모두 5명이다.
여권의 한 고위 관계자는 22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장관들은 아무런 상의 없이 마음대로 거취를 정할 수는 없다”면서 “장관들이 복귀하는 시점에는 뭔가 사인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 4월 총선 출마를 하려면 공직선거법 상 90일 전(1월14일)까지는 사퇴해야 하기 때문에 앞으로 8개월 내에는 당으로 복귀하든, 총선 출마를 포기하고 내각에 잔류하든 거취를 결정해야 한다.
이들은 장관 임명 전부터 사석에서는 내년 총선 출마 의지를 강하게 비쳐온 만큼 별다른 사정변경이 없는 한 당에 돌아올 것이라는 관측이 대체적이다.
현재로서 유력한 1차 시점은 8월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때까지 후임 장관에 인수인계를 하지 않는다면 예산안과 각종 법률안이 집중 처리되는 9월 정기국회 중간에 그만두는 데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또 취임 날짜를 기준으로 보면 최경환 부총리·김희정 장관(2014년 7월), 황우여 부총리(2014년 8월)가 취임 1년을 맞이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한편으로는 김무성 대표가 내년 총선 공천에 대해 완전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를 기본으로 상향식 공천을 실시하겠다는 의지가 강해 장관을 지냈다고 하더라도 지역 기반을 공고히 다지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다만 내년도 예산안 통과에 총괄 책임을 맡는 최 부총리는 적어도 예산안 법정 처리 시한인 12월 초까지는 현직에 머무를 가능성도 점쳐진다.
올해 정기국회를 넘어 연말까지는 현 진용을 그대로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야당으로부터 ‘총선용 장관 임명이었느냐’는 지적을 피하고, 비정치인 장관까지 포함해 연말 일괄 개각을 통해 새 인물을 앞세워 집권 4년차를 맞이하지 않겠다는 논리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