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내4당’ 바른정당 공식 출범…“범보수 구심점 될것”

‘원내4당’ 바른정당 공식 출범…“범보수 구심점 될것”

입력 2017-01-24 16:19
수정 2017-01-24 16: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與탈당 28일만의 초고속 창당…의원 31명의 제4정당

정병국 대표-김재경·홍문표·이혜훈·오세훈 최고위원 만장일치 선출

새누리당에서 갈라져 나온 바른정당이 24일 ‘범보수의 구심점’을 기치로 내걸고 중앙당 창당작업을 완료했다.

이미지 확대
24일 송파구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열린 바른정당 중앙당 창당대회에서 당대표로 추대된 정병국 당대표와 주호영 원내대표가 당기를 흔들고 있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24일 송파구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열린 바른정당 중앙당 창당대회에서 당대표로 추대된 정병국 당대표와 주호영 원내대표가 당기를 흔들고 있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바른정당은 이날 오후 잠실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당직자와 당원 4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중앙당 창당대회를 열고 신당 창당의 마침표를 찍었다.

지난달 27일 새누리당의 비박(비박근혜)계 의원 29명이 동반 탈당을 선언한 지 28일 만이며, 지난 5일 발기인대회를 개최해 창당준비위원회를 꾸린 이래 19일만의 초고속 창당이다.

이로써 바른정당은 현역의원 31명을 둔 원내 제4당으로 자리매김하게 됐으며, 조기대선 흐름이 가속화하는 상황에서 보수 진영은 새누리당과 바른정당으로 양분돼 치열한 주도권 경쟁을 벌일 전망이다.

바른전당은 이날 창당준비위원장을 맡아온 정병국 의원을 초대 당 대표로 추대했고, 김재경 홍문표 이혜훈 의원과 오세훈 전 서울시장을 최고위원으로 선출했다.

주호영 원내대표와 이종구 정책위의장은 당헌·당규에 따라 지명직 최고위원을 맡는 등 지도부 진용 구축을 완료했다. 당원대표자회의 의장에는 강길부 의원이 선임됐다.

창당대회에는 정병국 대표와 주호영 원내대표를 비롯해 김무성 유승민 의원, 남경필 경기지사, 원희룡 제주지사 등 주요 인사들이 총출동했다.

또 더불어민주당 안규백 사무총장, 새누리당 염동열 전략기획부총장, 국민의당 문병호 최고위원, 늘푸른한국당 이재오 공동대표가 참석해 축하의 뜻을 전달했다. 바른정당 행보에 동조한다는 이유로 중징계를 받은 새누리당 김현아 의원이 모습을 드러냈고, 정의화 전 국회의장도 참석했다.

새 지도부는 새누리당을 ‘가짜 보수’로 규정하고 바른정당이야말로 정통보수의 맥을 잇는 정당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보수대연합’의 구심점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정병국 대표는 “가짜보수를 배격하고 보수의 진정한 가치를 지키겠다”며 “이제 바른정당이 보수의 명예를 회복하고 대한민국의 성취를 이끈 진짜 보수가 시계 바늘을 미래로 향하게 하자. 반드시 적통보수 정권을 창출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창당 과정을 회고하면서 울먹거렸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국정파탄과 대통령 탄핵이라는 국가적 위기를 죽기살기로 막지 못해 정말 죄송하다”며 “기득권을 버리고 맨땅에서 새로 출발하겠다. 반드시 성공하겠다”고 호소했다.

김무성 의원은 “대통령의 헌법위반과 국정농단 사태를 막지 못한 책임을 통감하면서 통절한 마음으로 용서를 구한다”며 바른정당은 나라를 망치는 패권세력들을 극복하고 참된 약속으로 실천하는 정치를 보이겠다“고 말했다. 지도부와 소속 의원 전원은 연단에 올라 무릎을 꿇어 사죄의 뜻을 표시한 뒤 큰 절을 올리기도 했다.

바른정당은 ‘깨끗하고 따뜻한 보수’, ‘정의’를 앞세운 정강정책도 확정했다. 이 정강정책에는 과거 야권의 기치로만 여겨진 ‘재벌개혁’이 명시됐고, 사회적 약자와 서민층을 보듬는 정책기조도 부각됐다.

정강정책 초안에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 북한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과 맺은 6·15 남북공동선언‘과 ’10·4 선언‘을 ’존중‘한다는 표현을 넣었다가 정체성 논란을 빚기도 했지만 최종안에서도 ’존중‘이라는 표현이 유지됐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