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벙커 재가동하려면 확인 필요”
“위기관리센터 이원화될 수도”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긴급 담화를 발표하고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있다. 2024.12.3 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집무실을 용산 대통령실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청와대 지하 벙커를 통째로 뜯어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0일 MBC 라디오에서 “윤석열씨가 용산 이전을 급작스럽게 (추진)하면서 용산에도 지하 벙커가 필요했는데, 주요 설비를 못 구하니까 청와대 지하 벙커를 뜯어서 갔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 의원은 “지하 벙커를 정상적으로 재가동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무엇을 뜯어갔는지 확인해 봐야 하므로 가늠이 되지 않는다”며 “참고로 청와대 지하 벙커를 구축하는 데 한 1년 정도 시간이 걸렸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위기관리센터를 이원화해야 할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향후 이 대통령 부부의 거주지에 대해서는 “최종 판단은 새 정부에서 하겠지만, 저라면 청와대 관저가 아닌 다른 곳으로 이사할 것 같다”며 “문재인 정부 때도 장기적으로는 관저를 다른 곳으로 옮기고, 그 동선을 개방하자는 이야기가 있었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윤석열 정부는 2022년 용산 이전에 필요한 비용은 496억원에 불과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반면 민주당은 영빈관 신축 예산 878억원에 추가로 합참의 남태령 수도방위사령부 이전 비용, 미군 용산 잔류기지 대체부지 마련 비용, 군 경비경호 부대 및 방공부대 이전 비용까지 총 1조원 넘는 돈이 든다고 반박했었다.

서울 용산 대통령실의 외경. 2024.12.6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