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단지 절반은 여전히 ‘비닐 수거’ 거부

서울 아파트 단지 절반은 여전히 ‘비닐 수거’ 거부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4-11 09:33
수정 2018-04-11 09: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구청이 임시 수거 중…‘종량제에 비닐 담아라’ 안내하면 과태료

환경부와 재활용단체가 수거 정상화에 합의하면서 ‘비닐 대란’이 일단락되는 듯했지만, 여전히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절반은 비닐 수거 거부가 이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서울시에 따르면 9일 기준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3천132곳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천516곳에서 계약된 수거 업체가 비닐을 가져가는 것을 거부하고 있다.

정상적으로 수거가 이뤄지는 곳은 1천616곳으로 나타났다.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는 총 4천120곳으로, 이 가운데 3천132곳이 민간업체와 계약을 맺고 비닐과 플라스틱 등 재활용품 수거·처리를 맡기고 있다.

시는 “수거 거부 단지 가운데 1천376곳은 주민 불편이 없도록 구청에서 임시로 직접 비닐을 가져가고 있다. 140곳에서는 다른 민간업체가 비닐을 수거하고 있다”며 “비닐이 임시로 쌓여있을 수는 있겠지만, 장기간 방치된 곳은 없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시에 따르면 아파트 단지 3천132곳 가운데 835곳은 단지와 민간업체가 비닐 수거 관련 협상을 마쳤다. 2천16곳은 여전히 협상이 진행 중이다.

시는 “올해 초부터 중국이 고체 폐기물을 수입 금지하면서 수익성이 악화해 민간업체가 수거를 거부하고 나선 것”이라며 “아파트 관리사무소와 입주자대표회의가 비닐 등 재활용품을 팔고 받는 단가를 낮추는 방향으로 민간업체와 협상하도록 중재에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폐비닐 수거 비용은 자치구에 특별교부금을 지원하는 식으로 충당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는 그러나 아파트 단지와 민간업체 사이의 협상이 지지부진해 사태가 장기화하면 자치구가 아예 직접 수거하는 ‘공공 관리 체계’로 전환할 방침이다.

또 관리소장 명의로 ‘종량제 봉투에 폐비닐을 담아내라’는 위법한 안내문을 붙인 단지에 대해서는 관련법에 따라 과태료를 부과할 계획이다.

시는 이 밖에 EPR(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 분담금 의무화 비율을 현재 66.6%에서 80%로 높이고, 재활용 시장 안정화를 위한 지원 기금을 조성하는 방안 등을 중앙정부에 요청하기로 했다.

김기덕 서울시의원, 서울월드컵 23주년 기념축제 개최 공로…대한민국방송코미디언협회 ‘감사패’ 수상

김기덕 서울시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 마포4)은 2025년 6월 7일, 마포구 주민 3000여 명이 2002월드컵 축구 개최지 서울월드컵경기장 옆 평화의 광장에 운집해 웃음을 더한 월드컵 23주년 기념 대한민국 방송코미디언 희극페스티벌 ‘다시 웃자! 대한민국’ 축제의 성공적 개최에 기여한 공로로, 지난 30일 대한민국방송코미디언협회로부터 감사패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서울시가 후원하고 (사)대한민국방송코미디언협회와 대한민국희극제조직위원회가 주최·주관한 이번 기념축제 행사는 2002년 월드컵 4강 신화의 함성을 이뤄낸, 상암 월드컵공원 평화광장과 마포농수산물시장에서 개최했다. 특히, 이번 축제는 80~90년대 ‘유머 1번지’로 대한민국을 웃겼던 김학래, 심형래, 임하룡, 엄용수 등 스타 개그맨들의 총출동과, 인기 가수들이 함께해 흥겨움이 배가 된 행사로서, 축제에 참석한 대다수의 주민에게 과거의 월드컵 재현과 추억을 공유하고, 지금의 일상에 웃음을 더했다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대힌민국방송코미디언협회 측은, 이날 김기덕 의원의 공로 사유로, 올해 ▲마포구 축제 개최를 위한 서울 시비 예산 확보는 물론, ▲단순 공연을 넘어 2002월드컵 성공을 기념하는 가
thumbnail - 김기덕 서울시의원, 서울월드컵 23주년 기념축제 개최 공로…대한민국방송코미디언협회 ‘감사패’ 수상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