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해양경찰청은 지난해 부산·울산·경남 해역에서 모두 111건의 해양오염 사고가 발생, 기름 등 오염물질 109.3㎘이 유출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2020년 대비 발생 건수는 6% 증가했지만, 유출량은 84%가 줄었다. 지역별로는 선박이 많이 다니는 부산(경찰서 관할 기준)이 73건(66%)으로 가장 많았고,울산(22건),통영(12건),창원(4건) 순이다.
이미지 확대
해양오염방제 작업중인 해양경찰소속 방제선<남해해양경찰청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해양오염방제 작업중인 해양경찰소속 방제선<남해해양경찰청 제공>
해역별 유출량은 울산 41.97㎘(38%),부산(36.17㎘),통영(31.07㎘),창원(0.12㎘) 순으로 집계됐다. 오염원별로는 어선에 의한 사고 건수가 31건(28%)으로 가장 많았고, 어선,유조선,화물선,예인선·부선,육상,기타선 순으로 조사됐다. 또 원인별로는 부주의에 의한 사고 49건(44%), 파손, 해양사고(충돌·좌초·침몰·전복 등), 기타, 고의 순이 뒤를 이었다.
부산 김정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