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수준이 사망불평등으로, 고졸이 대졸보다 사망 연령 3년 낮아

교육 수준이 사망불평등으로, 고졸이 대졸보다 사망 연령 3년 낮아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2-08-13 09:00
수정 2022-08-13 09: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균형잡힌 식단이 눈건강은 물론 수명도 보장한다
균형잡힌 식단이 눈건강은 물론 수명도 보장한다
펙셀스 제공
고졸 이하 남성의 최빈 사망 연령(가장 많은 사람이 사망하는 나이)이 대졸 이상 남성보다 3년 가량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교육 수준이 결국 소득과 건강,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쳐 사망 불평등으로까지 이어진 것이다.

1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행한 보건복지이슈앤포커스 ‘교육 수준별 사망 불평등의 추이와 특징’에 따르면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최빈 사망 연령 또한 낮았다. 2015년 기준 최빈 사망 연령은 남성의 경우 고졸 이하가 83.96년, 대졸 이상이 86.90년이었다. 여성은 고졸 이하 89.71년, 대졸 이상 90.34년이었다.

또한 사망 건수의 50%가 집중된 구간도 교육수준이 낮을 수록 넓었다. 대졸 이상 남성은 12.51년인 반면 고졸 이하 남성은 15.51년이었다. 여성은 대졸 이상이 10.74년, 고졸 이하가 12.19년이다. 사망 건수가 집중된 구간이 넓다는 것은 이 기간 개인의 생존 불확실성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고서를 작성한 우해봉 인구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은 “계층적 지위가 낮은 집단은 건강 관련 자원에 접근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워 건강한 생활 방식을 유지하기가 어렵고, 병에 걸렸을 때도 체계적으로 관리할 여력이 부족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사망 연령에서 관측되는 변이의 증가로 이어질 개연성이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